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내년부터 개인 신용평가 등급제→점수제 개편…당국, 전담팀 가동

내년부터 개인 신용평가 등급제→점수제 개편…당국, 전담팀 가동
내년부터 개인신용 평가체계가 '등급제'에서 '점수제'로 바뀝니다.

등급제를 점수제로 바꾸면 이른바 등급 간 '문턱 효과'가 사라집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을 5일 발족하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기존 신용등급제는 개인 신용등급을 1~10등급으로 나눠 여신 심사와 대출금리 결정에 활용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방식은 개인의 신용을 등급으로 나누다 보니 등급 간 문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일례로 7등급 상위는 6등급 하위와 큰 격차가 없음에도 대출 심사 때 격차 이상의 큰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제도권 금융사들이 통상 6등급까지만 대출을 해주는 경우가 많아 7등급은 대부업체나 비제도권 금융사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렸습니다.

점수제(1~1천점)는 신용평가사(CB)가 신용점수만 제공하고 금융회사는 이를 토대로 리스크 전략 등을 감안해 자체적인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는 방식입니다.

점수제로 개편하면 신용평가가 좀 더 정교해져 신용등급 간 문턱이 사라지게 됩니다.

여신 심사나 금리 결정 등 과정에서 개인신용 정도에 따라 좀 더 정교하게 차별화된 대우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점수제에선 7등급 상위자들이 제도권 금융사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금융당국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등급제하에서 평가상 불이익을 받는 금융소비자 약 240만 명이 대략 연 1%포인트 수준의 금리 인하 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이런 점을 감안해 단계적으로 등급제를 점수제로 전환 중입니다.

자체 신용위험평가 역량이 강한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 등 5개 시중은행은 올해 초부터 신용점수제를 시범 적용해보고 있습니다.

보험이나 금융투자, 여신전문금융업권 등 여타 전 업권으로는 내년부터 확대 적용할 예정입니다.

금융당국은 신용점수제로 원활한 전환을 위해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 전담팀을 이날 구성했습니다.

전담팀은 점수제 전환과 관련한 법령·제도를 정비하고 금융소비자 불편을 완화하며 신용점수 활용기준을 구체화하는 등 역할을 담당할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