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상반기 출생아 16만 밑돌아 역대 최소…2분기 합계출산율 0.91명

상반기 출생아 16만 밑돌아 역대 최소…2분기 합계출산율 0.91명
올해 상반기 출생한 아이 수가 16만 명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역대 최소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9년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6월 전국 출생아 수는 15만8천524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17만1천800명) 대비 7.7% 감소한 수치로, 1981년 관련 통계를 수집한 이래 최소 기록입니다.

분기별로는 2분기에 7만5천448명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8.0%, 앞선 1분기에는 8만3천77명으로 7.4% 각각 감소했습니다.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추정되는 합계출산율은 2분기 기준 0.91명으로, 1분기(1.01명)보다 적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2분기 기준으로 2008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사상 최저치입니다.

6월 출생아는 2만4천51명으로, 2016년 4월부터 39개월 연속으로 같은 달 대비 최저 기록을 경신 중입니다.

통상 출산이 연초에 집중되고 연말에 줄어드는 경향을 고려하면 올해 출생아 수가 30만 명을 넘기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혼인 건수도 감소하고 있고 가임 여성의 수도 줄어드는 기존의 경향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망자는 1∼6월 14만6천65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 줄어들었습니다.

분기별로는 1분기에 7만5천114명, 2분기에 7만1천544명이 사망했습니다.

성·연령별 사망률을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 1천 명당 사망자 수를 따진 조사망률은 각각 6.1명, 5.0명으로 지난해와 동일했습니다.

다만 85세 이상 사망자의 비중이 남자 중에서는 0.8%포인트, 여성 가운데서는 1.5%포인트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혼인 건수도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혼인 신고 수는 12만12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3% 줄었습니다.

역시 1981년 집계 이래 상반기 기준으로 최소 기록입니다.

2분기 혼인은 6만1천27건으로 1년 전보다 7.8% 감소했고, 6월의 경우 1만7천946건으로 9.3% 줄었습니다.

2분기 기준으로 인구 1천 명당 혼인율은 남녀 모든 연령대에서 줄었습니다.

흔히 혼인 적령기로 꼽히는 남성 30∼34세, 여성 25∼29세에서 혼인율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이혼 건수는 올 상반기 기준 5만5천71건, 2분기에는 2만8천94건이었습니다.

6월 기준 이혼 건수는 8천685건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1.0% 늘었습니다.

분기로 따졌을 때 올해 2분기에 혼인 기간이 20년 이상인 부부의 이혼 건수가 10.2% 늘어나 1만266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