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세무사 자격 지닌 변호사에 세무 대리 업무 허용한다

세무사 자격 지닌 변호사에 세무 대리 업무 허용한다
앞으로 세무사 자격이 있는 변호사가 회계 및 세무 관련 교육을 수료하는 경우 모든 세무 대리 업무를 할 수 있게 됩니다.

기획재정부는 26일부터 이런 내용의 세무사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작년 4월26일 헌법재판소가 세무사법 제6조 제1항 등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취지를 반영하기 위해 법무부와 협의를 거쳐 마련한 것입니다.

앞서 헌재는 2004∼2017년에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에게 세무사 자격은 부여하되 세무사 등록을 불허해 세무사로서 세무대리 업무를 할 수 없도록 한 세무사법이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했다며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뒤, 법적 공백 상태로 발생할 혼란을 막기 위해 올해 12월31일 개정 때까지 법 조항의 효력을 잠정 인정한 바 있습니다.

개정안은 2004∼2017년 변호사 자격을 취득해 세무사 자격을 자동 부여받은 변호사가 회계와 세무 관련 실무 교육을 수료하면 '세무대리업무 등록부'에 등록해 모든 세무대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세무사 자격을 가진 변호사라도 세무사 자격시험에 합격하지 않으면 기재부 세무사등록부에 등록할 수 없었으나 이를 허용하기로 한 것입니다.

실무교육은 '이론 교육(회계능력 검증을 위한 평가 포함)과 현장 연수'로 구성하도록 했으며, 구체적인 내용과 절차는 세무사법 시행령과 규칙에 위임하기로 했습니다.

실무 교육을 수료한 뒤 수행할 수 있는 세무대리 업무는 ▲ 조세신고·불복청구 등 대리 ▲ 조세상담·자문 ▲ 의견진술 대리 ▲ 공시지가 이의신청 대리 ▲ 조세 신고서류 확인 ▲ 세무조정계산서 작성 ▲ 장부작성 대리 ▲ 성실신고 확인 등 8가지입니다.

2018년 이후 변호사 자격 취득자는 세무사 자격의 자동 부여가 폐지됐기 때문에 이번 개정안과는 무관합니다.

이와 함께 개정안에는 세무법인·세무사 등에 대한 조치·징계 시 통보 및 공고에 대한 법률상 근거를 명확히 하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세무법인에 대한 등록 취소 등 조치가 내려졌거나 세무사가 징계를 받았을 경우 해당 내용을 소속 협회의 장 등에게 통보하고 관보에 공고하도록 하는 근거를 마련한 것입니다.

기재부는 다음 달 10일까지 입법예고를 통해 국민과 관계 기관 의견을 수렴한 뒤 법제처 심사 등의 절차를 거쳐 10월 초 정기국회에 개정안을 제출할 예정입니다.

기재부는 "세무사법 시행령 등 하위법령에 위임된 사항의 개정도 법 개정에 맞춰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