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일본과의 지소미아, 즉 군사정보보호협정 종료를 결정하고 처음 감행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사실을 일본 측이 한국보다 26분 먼저 발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은 지난 24일 오전 6시 44~45분과 오전 7시 1~2분쯤 함경남도 선덕 일대에서 2차례에 걸쳐 동해 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쐈습니다.
이는 한국 정부가 오는 11월 22일 만료되는 지소미아를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일본 정부에 통보한 다음 날 단행된 것이어서 한일 당국의 대응태세가 특별한 주목을 받았습니다.
오늘(25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일본 방위성이 어제 "북한이 탄도 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한 것은 오전 7시 10분이었습니다.
북한이 첫 발사체를 쏘아 올린 지 약 26분 지난 후였지만, 한국 합참 발표 시간인 오전 7시 36분보다는 26분 빨랐습니다.
한국 합참 발표는 일본 방위성 발표 내용을 전한 일본 언론의 첫 보도인 교도통신 기준 오전 7시24분과 비교해도 12분 늦었습니다.
이는 지난 7월 25일 이후 북한이 6차례에 걸쳐 발사를 반복할 때마다 한국 측이 먼저 발표했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양상입니다.
이번에 일본 측의 발표가 빨랐던 것은 발사 가능성에 치밀하게 대비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와야 다케시 방위상은 어제 북한의 미사일 발사 후 방위성 출입 기자들에게 관련 내용을 설명하면서 "만반의 태세를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모였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당국이 해상자위대 이지스함을 통해 얻은 독자 정보를 중심으로 분석해 판단한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또 일본 당국은 이전 발표 때와는 달리 북한이 발사 하루 만인 오늘 '새로 연구·개발한 초대형 방사포'라고 발표한 이번 발사체의 성격을 '탄도 미사일'이라고 일찌감치 단정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이전 6차례 발사 직후에는 날아가는 물체라는 의미의 '비상체'라는 애매한 표현을 쓰고 나서 향후의 정보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탄도 미사일'로 판단하는 절차를 밟았습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로 금지돼 있기 때문에, 군사적, 정치적인 의미에서 심각성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를 두고 일본 정부가 이번 기회를 독자적인 정보수집 능력을 과시하는 계기로 활용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이런 판단을 근거로 어제 오전 베이징 외교 경로를 통해 북한 측에 이례적으로 조속히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사히는 일본 정부가 종전과 다르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인 배경에는 한국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 통보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일본 외무성 간부는 "일본은 (군사정보 분야에서) 미국과 협력하고 있고, 독자적인 정보 수집도 하고 있다"며 "일본의 (정보수집) 능력이 높음을 보여줬다"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