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北, 대담한 '수도권 상공' 발사…"이스칸데르 전력화 최종단계"

北, 대담한 '수도권 상공' 발사…"이스칸데르 전력화 최종단계"
▲ 6일 새벽에 발사된 북한의 신형 전술유도탄 발사 모습

북한이 지난 6일 쏜 단거리 탄도미사일 추정 발사체가 사실상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으로 확인됨에 따라 이 신형 미사일이 최종 전력화 단계에 이르렀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북한은 7일 관영매체들을 통해 전날 서부작전비행장에서 '신형 전술유도탄 위력시위발사'가 진행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날 사진을 통해 공개된 '신형 전술유도탄'의 외형은 지난 5월 4일과 9일, 그리고 지난달 25일 발사한 KN-23과 동일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 발사체들의 고도는 약 37㎞, 비행거리는 약 450㎞로 파악됐습니다.

최대 비행속도는 마하 6.9 이상으로 분석됐습니다.

북한의 발표 중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두 발사체의 궤적과 정밀도입니다.

북한은 발사된 2발이 "수도권 지역상공과 중부내륙지대 상공을 비행, 동해상의 설정된 목표섬을 정밀 타격했다"고 밝혔습니다.

발사체 중 한 발을 의도적으로 수백 만 명이 거주하는 평양 인근 상공을 통과시킨 셈입니다.

이 발사체는 평양시와 남포시 남쪽 부근을 스치듯 비행하면서 450㎞ 떨어진 함경남도 김포시 앞바다에 있는 조그마한 바위섬을 타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에는 상당량의 폭발물질도 탑재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 군사 전문가는 "대도시 상공을 가로지르는 (미사일) 발사시험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라며 "완성도가 그만큼 높다는 점을 대내외에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의 유도탄이 수도권 상공을 통과했다고 밝힌 점에서 보면 이번 발사의 핵심은 무기의 신뢰성 검증과 과시에 있는 것 같다"고 해석했습니다.

북한도 이날 "새형의 전술유도무기체계의 신뢰성과 안전성, 실전 능력이 의심할 바 없이 검증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5월 1년 5개월 여 만에 다시 공개적인 무기훈련을 재개한 북한은 지난 2개월 남짓한 기간 KN-23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5월 4일과 9일, 7월 25일, 8월 6일 등 최소 4번 시험발사했습니다.

발사체들의 정점고도는 45∼50㎞·50여㎞·60여㎞, 비행거리는 240㎞·270여㎞·420여㎞·600여㎞ 등으로 다양했고, 특히 지난달 25일 시험발사에서는 비행 중인 탄두의 '풀업'(pull-up·하강단계서 상승비행) 기동사실도 확인됐습니다.

한미 군 당국은 이를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규정했습니다.

북한이 '신형 대구경 조종방사포'라고 발표한 지난달 31일, 이달 2일 발사체 역시 KN-23 가능성이 높다고 군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김동엽 교수는 "(6일 발사는) 아마도 신형무기의 전력화 마지막 단계 정도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작전 배치를 위한 성능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됨에 따라, 앞으로 최소 1년 이내에 수십기 가량이 실전 배치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군사 전문가들은 신형전술유도탄을 서부작전비행장에서 450㎞ 사거리로 발사한 배경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약 300㎞ 떨어진 지점에는 한국군의 스텔스 전투기 F-35A가 배치되는 청주 기지가 있고, 약 400㎞ 떨어진 곳에는 성주의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기지가 있습니다.

북한이 서부작전비행장에서 발사체를 쏜 것 역시 이번이 처음으로, 군 관계자 "이동식발사대(TEL)를 이용해 어디서든 쏠 수 있다는 능력을 과시한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북한판 이스칸데르'가 다시 한번 저고도 정밀타격능력을 입증함에 따라 50㎞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잡는 주한미군 사드나 패트리엇 PAC-3 등 한미 미사일방어체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다시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군은 "(북한판 이스칸데르는) 우리 방어자산의 요격 성능 범위에 들어 있다"며 '풀업 기동' 역시 우리 군이 훨씬 오래전에 개발했던 기술이라는 입장입니다.

또 고도 40∼50㎞ 이하의 하층 방어체계를 보강하고, 군 정찰위성, 장거리 탐지레이더, 탄도탄 요격용 철매-Ⅱ의 성능개량, 이지스 구축함용 대공미사일(SM-3급) 등을 조기전력화하는 방식으로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를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