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미·일 회담서 강경화 'GSOMIA 재고' 언급…폼페이오 즉답 안 해

한·미·일 회담서 강경화 'GSOMIA 재고' 언급…폼페이오 즉답 안 해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기 바로 전까지 미국이 '파국'을 막기 위해 외교 라인을 바쁘게 가동했다고 정부 고위 관계자가 전했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태국 방콕에서 한미일 외교장관회담이 열렸던 어제(2일) 기자들과 만나 "어젯밤까지도 미국이 아주 부산하게 움직였다"고 말했습니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 시점이 어제 저녁으로 이미 일본 정부가 각의를 열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수출무역관리령을 처리한 이후였다는 점에서 미국이 관여할 의지가 없던 것 아니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우리도 미국과 긴밀히 협의하면서 미국이 일본에 대해서 하는 이야기를 다 잘 전해 듣고 있다"며 "미국과도, 일본과도 외교 당국 간에는 공식, 비공식적으로 자주 만난다"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 사태가 있기 전까지 우리가 끝까지 대화를 통해서 문제를 풀자는 이야기를 전했고 미국도 같은 노력을 기울였다"며 "일본 측이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습니다.

한미일 외교장관회담 직후 나왔던 발언인 점을 고려하면 한국과 미국은 일본에 추가 보복 조치를 강행하지 말고 대화에 나서라는 취지의 요청을 했지만, 일본이 이를 거절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청와대 역시 어제 브리핑에서 한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이 소위 '현상동결합의' 방안을 제시했고 일본과 협의를 위해 노력했으나 일본이 이를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방콕 센타라 그랜드호텔에서 30분 남짓 진행된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에는 강 장관과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만 들어갈 계획이었으나 회담장에는 각국 당국자들이 1명씩 추가됐습니다.

한국 측에서 김정한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 미국 측에서는 데이비드 스틸웰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일본 측에서는 가나스기 겐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배석했습니다.

애초 미국 측은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상황에서 배석자 없이 장관들끼리만 만나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기를 원했으나 일본 측의 요청으로 배석자를 추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 외교소식통은 "현장에서는 한미일 장관 3명만 만나는 방안을 타진하려고 했으나 회담 자체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어서 당국자가 1명씩 배석하게 됐다"고 귀띔했습니다.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에서는 미국이 민감하게 생각하고, 일본이 연장을 희망하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갱신 문제에 대한 언급도 나왔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강 장관은 한국 정부로서는 모든 가능성을 테이블에 올려놓고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점을 밝혔고, 이에 폼페이오 장관은 즉각적인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지난달 29일 정례브리핑에서 협정과 관련해 "2016년 체결 이후 매년 자동 연장돼 왔다"고 답하며 연장을 희망한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협정의 유효 기간은 1년으로 기한 만료 90일 전인 이달 24일 한국과 일본 어느 쪽이라도 협정 종료 의사를 통보하면 종료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