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후텁지근한 여름 더위 식중독 위험…전국에 '빨간불'

후텁지근한 여름 더위 식중독 위험…전국에 '빨간불'
후텁지근한 날씨에 전국적으로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를 포함해 4개 정부 기관이 제공하는 식중독 예측지도에 따르면 이 날짜로 전국이 식중독 '위험' 단계에 올랐습니다.

식중독 예측지도는 식중독 발생 정보와 기상·환경·진료 정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빅데이터 등을 통해 지역별 식중독 발생 위험을 지도 형태로 표현한 서비스입니다.

식약처와 기상청, 국립환경과학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4개 기관이 협업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식중독 예측 정보는 위험 지수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고', '위험' 등 4단계로 구분됩니다.

7월 말인 30일, 31일 전국 식중독은 '경고' 단계에 머물렀으나 8월 1일 자로 '위험'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위험 단계는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각별한 경계가 요망되는 수준입니다.

설사나 구토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이 있으면 병원을 방문해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합니다.

이 시기는 고온·다습해 세균성 식중독균이 활동하기 좋은 만큼 개인위생에 철저해 식중독을 예방해야 합니다.

식약처가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여름철(6~8월) 식중독 발생은 연간 평균 113건(전체 563건)입니다.

전체 식중독 환자의 평균 40%가 이 기간에 발생했습니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상시 '손 씻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 등 3대 요령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특히 음식을 조리하거나 먹기 전에는 세정제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게 좋습니다.

도마와 식칼 등 조리기구는 소독을 철저히 한 뒤 사용해야 합니다.

육류, 가금류, 계란, 수산물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조리하고 2시간 이내에 섭취하는 게 안전합니다.

식중독균은 냉장 상태에서 증식이 억제될 뿐 사멸하지 않기 때문에 냉장고를 과신해서도 안 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