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중 무역 협상단 두달 만에 재회…입장 차 여전해 난항 예상

미중 무역 협상단 두달 만에 재회…입장 차 여전해 난항 예상
미국과 중국이 무역협상 좌초 후 2개월 만에 협상 테이블에 다시 앉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입장 차가 커 이번 협상에서 돌파구를 찾을 것이라는 기대는 낮은 분위기입니다.

양측은 이번 고위급 무역협상이 현지시각 30일에서 31일 사이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다고 발표했습니다.

베이징이 아닌 상하이에서 협상이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류허 부총리가 중국 협상단을 이끌며 중산 상무부장도 협상에 참여한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 협상단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와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이 이끕니다.

협상의 세부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라이트하이저 대표와 므누신 장관 등이 중국 측과 상하이 황푸강 강변 와이탄에 있는 페어몬트피스호텔에서 만찬을 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공식 협상은 이튿날 시자오 빈관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중국은 지난 28일 관영 신화통신을 통해 수백만t의 대두를 포함한 미국산 농산물을 새로 구매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앞서 미국은 110종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면제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타임스는 "관세에서 합의 문구까지 여러 이슈에서 입장 차이가 여전한 데다 미국이 계속 중국을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이 협상에 대한 기대가 낮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의 고위 무역 관리 출신으로 중국세계화센터 선임연구원인 허웨이원은 "모든 장애물을 고려해보면 협상이 어떤 실질적인 돌파구를 찾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 쪽 전문가도 비슷한 의견입니다.

AP통신에 따르면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번스-프리처드는 "협상을 결렬시킨 이슈가 그대로 남아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어느 쪽도 큰 양보를 하려 하지 않는다"면서 협상 타결이 힘들 것으로 봤습니다.

오사카의 미중 정상회담 후에도 미국은 중국에 대한 압박을 이어가고 중국은 반발하는 모습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 중국을 겨냥해 일부 국가들이 세계무역기구에서 개발도상국 지위를 부여받아 혜택을 누리지 못하게 하도록 조치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에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의 이기심과 오만을 비판하면서 중국이 개도국 지위를 누려야 무역의 진정한 공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