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日 경제 보복…이재용의 침묵과 최태원의 당당함

경제보복 노출 기업들엔 경영계 리더 '한 마디' 절실

[취재파일] 日 경제 보복…이재용의 침묵과 최태원의 당당함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은 '은둔 황제'라는 별명과 달리 공개석상서 기록된 발언들이 꽤 많다. 해외 출장 전후 또는 출근길 공항과 사옥 등지에서 마주친 기자들에게 자신의 메시지를 던지고는 했다. "까딱 잘못하면 10년 전 구멍가게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 "애플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회사가 삼성을 견제한다. 못이 나오면 때리려는 원리다" 같은 발언이 그렇게 나왔다. 대부분 그룹 메시지 전략 임직원들과의 조율 없이 나온 거지만 꼭 필요한 얘기였고 파급이 컸다.

2012년 1월 이 회장의 미국 CES 출장을 수행한 한 임원은 "회장님이 다른 회사 제품을 보고 '정신 안 차리고 있으면 금방 뒤지겠다, 긴장된다' 하셨는데, 우리가 먼저 가 보고 느낀 바와 정확히 일치했다"고 술회했다. "이제 이 정도 갖고는 안 되겠다. 더 깊이 미래를 직시하고 더 멀리 보고 더 기술을 완벽하게 가져가자"는 오너 말에 조직 전체가 긴장해 미래를 대비할 수 있었다는 거다. 이 회장이 공개적으로 '삼성테크윈 부정부패'를 반성한 뒤엔 그룹 전반에 고강도 감사가 벌어지기도 했다. 협력사 사이 "삼성만큼 접대 안 받는 대기업이 없다"는 얘기가 나오게 된 계기다.

병상에 있는 이 회장의 과거 행보가 떠오른 건 최근 아들 이재용 부회장의 '침묵'을 보면서다. 일본 경제 보복에 따른 재료수급 상황을 챙기겠다며 직접 일본을 다녀온 그다. 수행단도 전용기도 없이 요란하지 않게 떠났지만 돌아올 때는 달랐다.

전체 법인세의 16%를 부담하는 기업 총수가 위기 속에 어떤 해결책을 들고 왔는지, 현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그의 입에 온 사회의 관심이 쏠렸지만 대답을 들을 수 없었다. 일본에 도착해 했다는 "장마네요"라는 짧은 말에 '궂은 비가 그치길 기다리는 마음'이라며 문학평론의 영역에 도전한 매체까지 나왔다.
일본 정부의 한국 수출 규제 대책 논의 위해 출국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업계는 이 부회장이 침묵한 건 소규모 장인 기업까지 만났지만 생각만큼 성과가 없었기 때문일 거라고 분석한다. 그러나 이 부회장이 귀국 뒤 끝까지 침묵한 건 아니다. 당장 다음날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 사장단을 소집해 비상계획 마련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기전을 대비하라는 메시지다. 실제로 삼성은 곧바로 전 부문 협력사에 '광복절 전까지 일본산 소재·부품을 최대한 많이 확보해 달라'고 요청했다. 요컨대 이 부회장 역시 현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조직에 분명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이 회장 부자를 가까이서 지켜본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과 아버지의 단순 비교는 아직 곤란하다"고 말했다. 국정농단 사건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수사까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이 부회장이 어떤 말이든 공개적으로 꺼내기 어렵다는 거다.

이 관계자는 "이 부회장도 자기 생각이 확고하게 있고 임원들에게 정확히 전달한다"며, "여러 문제가 다 해결되고 나면 자신의 스타일과 경영전략, 철학 등을 말할 기회가 올 거"라고 말했다. 논란 없는 승계로 삼성 회장에 오른 이 회장도 취임 6년이 된 1993년에야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통해 오늘의 삼성을 만들지 않았느냐는 옹호다.

하지만 삼성 내부에선 이 부회장의 조용한 행보를 안타까워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임원들을 통해 방향은 하달되지만 정작 '우리 부회장님'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어떻게 하겠다는 건지는 도통 모르겠다는 거다.

최근 삼성전자 사내 게시판엔 '정치권이 저지른 일을 해결하러 총수가 대신 돌아다니는데 화가 난다'는 글이 올라와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정치권이 해결책은 찾지 못하고 '죽창'이니 '불매 운동' 따위 감성 몰이에만 나서는 분위기를 걱정하는 목소리다. 침묵하는 오너를 보며 국가 경제에 기여해왔다는 자부심이 사라지고 있다는 자괴감으로 읽힌다.
최태원
이 부회장의 침묵은 최근 SK 최태원 회장이 보여준 당당함과도 비교된다. 최 회장은 지난 18일 기자들과 만나 "국산 불화수소는 순도 면에서 품질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삼성과 함께 반도체로 국내 법인세 25%를 분담하는 기업 총수가 직접 위기상황을 설명한 것이다. 감정적인 탁상공론으로 수입선 다변화나 국산화처럼 언제가 될지 모를 방안을 해결책이라고 제시하는 일부 정치권과 전문가들이 뜨끔했을 얘기였다.

최 회장은 그러면서도 "차차 (국산품이 SK하이닉스 공정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하루아침에 해결책이 뚝딱 나오는 게 아니니 각자 위치에서 맡은 바를 천천히 잘해내는 게 해법"이라고도 말했다. 정확한 진단을 내린 뒤, 자신감을 잃지 않고 해결책 찾아 제 갈 길 가겠다는 총수 말에 안도했다는 투자자들이 많다. 재계는 "최 회장이 세대교체가 끝난 4대 그룹의 맏형 노릇을 확실히 하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일본 경제 보복이 부른 전례 없는 위기에 많은 기업들이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그런데도 정부는 "100개 리스트가 있었다"는 식의 무소용한 얘기만 하고 있다. 출구가 어딘지 모를 '깜깜이' 상태에 빠진 기업들로선 함께 탈출구를 고민할 경영계 리더의 '한 마디'가 더 절실할지 모른다.

사회가 대기업 총수들 말에 귀 기울이는 건 이들이 경제에 끼치는 영향력이 큰 탓이다. 그들의 생각에서 나오는 경영 전략과 조직 문화가 한국 사회와 경제 생태계 전반에 두루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이 침묵을 깨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얘기가 그래서 나온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