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국무부 주최 종교자유 행사에 탈북민 증언 포함 안 돼

미국 국무부가 종교의 자유 증진을 위한 행사를 열면서 탈북민도 초청했으나 공식 증언 행사에 포함시키지는 않았습니다.

북한과의 실무협상 재개를 앞두고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미국 정부의 의도가 반영됐을 가능성이 있어 주목됩니다.

국무부는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사흘간의 일정으로 '종교의 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환영사에서 "100곳이 넘는 외국 대표단을, 1천명 이상의 대표를 초청했다"면서 "우리가 다른 점이 많지만 여기 모인 모두가 종교 다원주의에 동의한다"고 말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어 "지구상 모든 곳의 모든 사람이 집과 예배의 장소와 광장에서 드러내놓고 믿음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하고 믿고 싶은 것을 믿을 수 있어야 한다"며 "종교의 자유에 대한 미국의 헌신은 절대 약해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 국가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18일까지 진행되는 행사에는 세계 각지에서 종교 문제로 박해를 받은 이들이 증언에 나서지만 국무부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된 세부 일정에 탈북민의 증언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17일 동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세션에 중국과 미얀마, 말레이시아의 종교 박해 피해자들이 참석할 예정이지만 북한 출신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국무부가 별도로 소개한 피해자들 일대기에는 1990년대생인 탈북민 A씨가 탈북 과정 등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함께 포함됐습니다.

피해자들 및 고위급 인사 간 면담이 17일 예정돼 있어 일정 조정 과정이 있었고 A씨의 증언에도 영향이 있었다는 게 국무부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A씨가 국무부 주최 행사에서 증언을 하지 않는 것이 단순한 일정 조정 때문인지 아니면 A씨의 증언이 국무부 입장에서 부담스러웠는지는 불분명합니다.

북미가 실무협상 재개를 앞둔 시점에 A씨가 북한과의 협상을 총괄하는 국무부의 공식 행사에서 북한 정권의 종교 박해 실태를 증언할 경우 북한이 이를 트집 잡아 협상 재개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작년 7월 처음으로 열린 장관급 회의에서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기조연설을 하면서 어머니가 준 성경책을 갖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고문당했던 탈북민 지현아 씨의 사례를 공개 거론하며 북한을 비판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작년에도 환영사에서 북한을 별도로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