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핵 합의 존폐위기 속 이란 유조선 지브롤터 억류 '암초'

핵 합의 존폐위기 속 이란 유조선 지브롤터 억류 '암초'
▲ 영국령 지브롤터에 억류된 이란 유조선 '그레이스1' 호

영국령 지브롤터 당국이 시리아로 향한다는 이유로 이란 유조선을 억류하면서 영국과 이란의 갈등이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일방적인 탈퇴와 이란의 이행 축소로 핵 합의가 존폐 위기에 처한 가운데 핵 합의를 살리기 위해 유럽과 이란이 협력해도 모자랄 판에 암초가 솟아난 상황입니다.

이란에서는 영국을 포함해 유럽 서명국인 프랑스, 독일, 유럽연합이 미국 눈치를 보느라 핵 합의 이행에 미온적이라는 불만이 커지는 터라 유조선 억류라는 악재로 핵 합의의 앞날이 더욱 불투명해졌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이란 외무부는 유조선이 억류된 4일부터 닷새간 로버트 매클레어 주이란 영국 대사를 3차례나 불러 불법적인 행위라며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이란은 EU의 대시리아 경제 제재를 근거로 한 이번 억류가 불법이라는 입장입니다.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트위터에 이란은 EU의 회원국이 아니어서 EU의 제재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이번 억류는 해적질이 자명하다고 비판했습니다.

EU의 제재는 미국처럼 세컨더리 보이콧이 아니기 때문에 이란의 유조선이 제재 대상인 시리아로 원유를 나른다는 이유로 억류한 것은 월권이라는 것입니다.

칼 빌트 전 스웨덴 총리 겸 유럽외교협회(ECFR) 공동의장도 이 점을 지적했습니다.

그는 트위터에 이란 유조선 억류를 두고 EU의 대시리아 제재를 언급하는데 이란은 EU 회원국이 아니며, 원칙적으로 EU는 비회원국에 제재를 부과하지 않는다는 글을 올렸습니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차관은 유조선의 목적지가 심지어 시리아가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영국 에너지 회사 BP가 운용하는 대형 유조선 '브리티시 헤리티지' 호가 이란의 보복성 억류를 피하려고 예정과 달리 사우디 근해 걸프 해역에 정박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유조선은 애초 이라크 원유 수출항 바스라에서 원유를 싣고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 유럽으로 향하려 했으나 갑자기 항해를 멈췄고 BP도 원유 선적 주문을 취소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습니다.

지브롤터 당국은 일부 보도와 달리 억류된 유조선에 원유가 가득 실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본국에서 억류 기간을 2주(7월18일)로 연장하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사진=AF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