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민 절반은 원치 않은 임신에 '낙태' 선택…'출산 후 입양' 37%

국민 절반은 원치 않은 임신에 '낙태' 선택…'출산 후 입양' 37%
원치 않은 임신을 했을 경우 국민 두 명 가운데 한명은 낙태를 선택하겠다고 답한 국내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성산생명윤리연구소는 지난 1일 전국 만19세 이상 남녀 1천1명을 대상으로 낙태 관련 전화 설문조사(신뢰수준 95%, 오차범위 ±3.1%p)를 시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습니다.

응답자 49.6%는 원치 않는 임신이고 아기를 양육할 의사가 없을 때, 낙태와 입양 중 어떤 선택이 좋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었을 때 '낙태를 선택하는 것이 낫다'고 답했습니다.

37.4%는 '출산 후 입양을 선택하는 것이 낫다', 13%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습니다.

낙태 허용 기준으로는 '산모의 생명이 위험한 상태를 제외한 모든 낙태에 반대'가 29%로 가장 많았습니다.

그 뒤로는 '임신 초반부인 12주까지 허용'은 23.4%, '태아의 심장박동이 감지되는 6주 이전까지 허용' 22.7%, '무조건 낙태를 허용' 17.5%, '잘 모르겠다' 7.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낙태를 전면 허용했을 때는 무분별한 낙태 증가, 제한적으로 허용했을 때는 태아 생명권의 여전한 침해 등의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 33.8%는 낙태의 전면적 허용에 따른 문제점으로 '무분별한 낙태 증가'를 꼽았습니다.

그 뒤로는 '청소년 임신 증가' 17%, '낙태 강요 증가' 15.2%, '우려되는 점이 없다' 13.5%, '원치 않는 임신 증가' 13.4%, '잘 모르겠다' 7%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낙태의 제한적 허용에 따라 우려되는 문제점으로는 '태아 생명권의 여전한 침해'가 32.4%로 가장 많았습니다.

'여성의 자기결정권 침해'는 26.7%, '영아 유기가 늘어날 것' 16%, '잘 모르겠다' 13.5%, '출산에 따른 사회 경제적 고충 증가' 11.4%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