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시아나·에어서울 1년 새 항공 안전성 '노란불'…매우 우수→보통

아시아나·에어서울 1년 새 항공 안전성 '노란불'…매우 우수→보통
▲ 지난 4월, 광주공항 착륙 도중 앞바퀴가 파손된 아시아나 여객기

아시아나항공과 에어서울이 항공운송서비스 평가 안전성 부문에서 국내 항공사 중 가장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두 항공사는 전년보다 평가 등급이 2단계나 떨어졌습니다.

국적 항공사 정시성은 대부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 보호 부문에서 에어부산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국토교통부는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진행하는 이 평가는 ▲ 정시성 ▲ 안전성 ▲ 소비자 보호 충실성 ▲ 공항서비스 등 정량평가와 이용자만족도 정성평가로 이뤄졌습니다.

국내 항공사만 놓고 보면, 국제선 정시성 부문에서 모든 항공사가 A등급 (매우우수)을 받았고, 국내선 정시성은 모두 B등급 (우수)을 받았습니다.

안전성 부문에서는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에어부산과 티웨이항공이 A등급을 받아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고, 대한항공·이스타항공·제주항공·진에어가 B등급을 받았습니다.

아시아나항공과 에어서울은 C등급 (보통)으로 가장 낮은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특히 두 항공사는 전년 (2016∼2017년) 평가에서는 A등급이었다가 1년 사이 등급이 두 계단이나 떨어져 안전 분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지난해 안전 이슈 관련한 행정처분이 몰리면서 안전성 평가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며 "올해 정비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A350, A321네오 등 신기재를 지속적으로 도입하며 안전성을 강화해 고객들의 신뢰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평가에서 안전성은 항공사 사고율, 안전 관련 과징금 및 항공종사자 처분 건수, 항공사 안전문화 등을 종합해 등급을 산출했습니다.

소비자 보호 부문에서는 대한항공·에어서울·이스타항공·진에어·티웨이항공이 A등급을, 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이 B등급을 받았습니다.

에어부산은 가장 저조한 미흡 (D등급)을 받았습니다.

이는 작년 11월 발생한 '기내 장시간 대기 사태'로 인해 과태료를 부과받은 것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공항서비스 평가에서는 국내 대부분 공항이 수속절차 신속성이나 수하물처리 정확성 부문에서 A등급을 받았습니다.

공항이용 편리성 부문에서는 인천공항이 유일하게 A등급을 받았고, 김포·김해·제주공항은 B등급, 청주·대구공항은 C등급에 그쳤습니다.

국내 취항하는 외국 항공사 대부분은 국제선 정시성이 매우우수 (A등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 보호 부문에서는 팬퍼시픽항공 (필리핀)이 이용객 대비 피해구제 접수 건수가 많고 법정 소비자 보호조치를 준수하지 않아 F등급 (매우불량)을 받았고, 아예로플로트 (러시아)가 D등급 (미흡)을 받았습니다.

어명소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항공교통 이용 증가 및 서비스 다양화에 따라 국민의 항공 서비스에 대한 눈높이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며 "평가가 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제도를 보완하고 발전시키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