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내년도 건강보험료율 오늘 결정…가입자단체 "일방적 인상 반대"

내년도 건강보험료율 오늘 결정…가입자단체 "일방적 인상 반대"
내년도 건강보험료율 결정을 앞두고 가입자단체를 중심으로 정부가 미납한 건강보험 국고지원금을 먼저 완납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가입자단체는 6월 말로 정해진 인상률 결정 시한을 넘겨서라도 정부로부터 명확한 입장을 듣겠다는 분위기입니다.

28일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 등에 따르면 의료정책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은 이날 오후 회의를 열고 내년도 건강보험료율 인상 폭을 결정합니다.

건강보험료율 인상률은 보건복지부가 제1차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에서 제시한 것처럼 3.49%로 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부는 치료에 필요한 모든 의학적 비급여를 급여화하는 '문재인 케어'를 시행하면서 보험료 급등 우려가 나오자, 인상률을 2023년까지 지난 10년간 평균인 3.2%를 넘지 않게 관리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근래 인상률은 2018년 2.04%, 올해 3.49%였으며, 2020∼2022년 예상 인상률은 각각 3.49%, 2023년은 3.2%입니다.

하지만 가입자단체들은 정부가 문재인 케어로 '생색'을 내면서 부담은 국민에게 전가한다고 주장하며, 3.49% 인상안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지난 25일 열린 건정심 가입자단체 회의에서는 정부가 지난 13년간 지급하지 않은 국고지원금 24조원을 받아 보험료율을 동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습니다.

정부는 건강보험법과 건강증진법에 따라 2007년부터 해당 연도 '건강보험료 예상수입액의 20%'에 상당하는 금액을 14%는 일반회계(국고)에서, 6%는 담뱃세(담배부담금)로 조성한 건강증진기금에서 지원해야 합니다.

하지만 보험료 예상수입액을 적게 산정하는 방법으로 지금껏 지원규정을 제대로 지킨 적이 없습니다.

정부는 2007∼2019년 국민이 부담한 건강보험료의 20%에 해당하는 100조1천435억원을 지원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75조6천62억원만 지원했습니다.

건강보험이 받지 못한 국고지원금은 24조5천374억원입니다.

국고 지원율은 법정기준인 20%에 훨씬 못 미치는 15.3%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