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오사카 G20 내일 개막…트럼프-시진핑 '세기의 담판' 주목

세계 주요 국가와 국제·지역 기구의 대표들이 총출동해 세계 경제 협력 문제를 논의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28일부터 이틀간 일본 오사카(大阪)에서 열립니다.

이번 회의에는 회원국 정상들 뿐만 아니라 지역 기구 의장국과 국제기구 등 38개 국가·지역·국제기관의 대표들이 참가합니다.

핵심 의제로 세계 경제와 무역·투자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세계의 관심은 회의 자체보다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미국과 중국 간 정상회담에 쏠려있습니다.

미중 간 무역전쟁이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확전 일로로 치달으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담판'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지 주목됩니다.

시 주석은 특히 최근 평양 방문을 통해 북미 협상의 중재자로 부상하고 있어 이런 상황 변화가 미중 간 무역 전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사이의 '세기의 담판'은 회담 마지막 날인 29일 열립니다.

일각에서는 두 정상이 이에 앞서 별도의 만찬을 통해 회동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두 정상의 이번 만남은 지난달 9~10일 워싱턴DC에서 진행된 양국 간 고위급 무역협상이 합의 없이 끝난 뒤 50일 만에 열리는 것입니다.

지난달 협상 이후 양국 무역전쟁은 진정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은 지난달 10일부터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했고, 다른 3천억 달러 이상의 중국산 제품에도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고 있습니다.

중국 역시 지난 1일부터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최고 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중국산 희토류 수출을 보복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회담 결과를 둘러싸고는 두 정상이 무역협상의 타결까지는 아니더라도 재개를 선언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기대가 나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추가로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중단할 여지도 있습니다.

작년 12월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때 두 정상은 만찬 회동을 한 뒤 미국 측이 90일간 관세 인상을 유예하기로 하며 '휴전'을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6일 미국 기업들이 추가관세 부과에 반대의 아우성을 지르고 있다며 두 정상이 이번 양자 회담을 계기로 휴전을 할 수 있다는 예상을 내놨습니다.

반면 담판 결과 양국 무역협상의 판이 깨질 수도 있다는 비관론도 있습니다.

스위스 금융기업 UBS는 양국 협상의 판이 깨져 무역 전쟁이 격화하면 글로벌 경제에는 경기침체에 준하는 성장세 둔화가 닥칠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이번 담판을 앞두고 지난 20~21일 평양을 깜짝 방문한 시 주석은 북핵 협상 재개의 중재자 역할을 강조하면서 이를 미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 주석이 오사카에서 한국, 러시아, 일본 등 6자회담 당사국 정상들과 개별 회담을 하면서 남북미 주도의 비핵화 협상 판을 흔들려 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옵니다.

이번 G20 정상회의에는 회원국 중에서는 외교장관이 대리 참석하는 멕시코와 고령의 국왕 대신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참석하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외한 18개국 정상이 참석합니다.

비회원국 중 네덜란드와 싱가포르, 스페인, 베트남 등 4개국과 유엔과 국제통화기금(IMF),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아프리카연합(AU) 등 국제 및 역내 기구 13개의 대표도 참석해 모두 38개 국가·국제기구의 정상·대표가 집결합니다.

회의는 28일 오전 기념촬영 후 오찬을 겸한 디지털 경제 관련 회합으로 시작됩니다.

같은 날 저녁에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주최 만찬이 열립니다.

29일에는 오전에 여성의 지위 향상과 관련한 논의가 진행되며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연설합니다.

오후에는 폐막과 함께 공동 선언문이 발표됩니다.

의장국 일본은 이번 회의에 세계 경제, 무역·투자, 혁신, 환경·에너지, 고용, 여성, 개발, 보건 등 8개 영역에서 의제를 설정했지만, 대부분의 의제에서 강제성을 띠는 결과물보다는 추상적인 선언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원국 사이에는 '미국 제일주의'를 외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반감이 강하지만, 공동성명에는 직접적인 '보후무역주의 반대' 주장은 빠질 전망입니다.

26일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미국을 배려해 '반(反)보호무역주의'라는 문구를 빼고 대신 '자유무역의 촉진'이라는 문구를 넣은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G20 정상회의는 2008년 처음 시작된 후 매년 '보호무역주의에 대항한다'는 취지의 문구가 공동성명에 포함됐지만, 작년 아르헨티나 회의에서 처음으로 이런 표현이 빠졌습니다.

지난 8~9일 열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무역·디지털 경제장관 회의에서도 미국의 반대로 공동성명에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반대·우려 표명이 제외됐습니다.

공동성명에는 이외에도 ▲디지털 경제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여성 지위 향상 등과 관련한 내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 정부는 이번 회의를 전후해 역대 최대 규모인 3만2천명의 경찰력을 투입했습니다.

세계 주요국 정상들이 총결집한 만큼 회의 기간에는 정상들 간 활발한 양자 회담이 예정돼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을 비롯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아베 총리 등 8개국 정상(급)과 회담할 예정입니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의장국 일본의 아베 총리는 19개 국가·기구의 수뇌와 양자회담을 합니다.

26일 G20 정상 중 처음으로 일본에 온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회담했으며 27일에는 시 주석과 양자 회담을 합니다.

28일에는 트럼프 대통령, 29일에는 푸틴 대통령과 회담 일정이 잡혀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 등 최소 7개국 정상과 양자 간 만남을 가질 예정입니다.

다만 한국측이 희망했던 한일 정상회담은 열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5일 "(이번 G20 정상회의 기간에) 한일 정상회담은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우리로서는 항상 만날 준비가 돼 있지만, 일본은 준비가 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