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北과 협상 재개 한층 적극성 띠는 美…"당장 시작할 준비돼 있다"

北과 협상 재개 한층 적극성 띠는 美…"당장 시작할 준비돼 있다"
미국이 북미협상 교착 타개에 한층 적극성을 보이며 북한에 빨리 대화를 재개하자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친서로 화답한 데 이어 북미협상을 총괄해온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이른 시일 내 실무협상 재개에 대한 상당한 기대감을 표명하며 강한 대화 의지를 표명한 것입니다.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담판을 앞두고 한반도 문제에 대한 개입 폭을 키우려 하는 와중에 북미 양자의 대화를 가급적 빨리 본래 궤도로 되돌려 협상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23일(현지시간) "(친서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북한과 중요한 논의를 이어가는 데 좋은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북미 실무협상이 곧 재개되는지에 대해서도 "오늘 아침 북한에서 나온 발언을 보면 아마도 꽤 높은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답했습니다.

북한이 준비됐음을 보여준다면 "말 그대로 당장 대화를 시작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북미 실무협상 재개 가능성에 상당한 무게를 둔 발언으로 보입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한국시간으로 이날 오전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만족을 표시했다면서 "흥미로운 내용을 심중히(깊고 중요하게) 생각해 볼 것"이라는 김 위원장의 발언을 전한 바 있습니다.

미국이 말 그대로 당장 대화를 시작할 준비가 돼 있다는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 역시 미국이 북미 실무협상 재개에 한층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을 짐작하게 합니다.

백악관도 이날 오전 성명을 내고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공식 확인하면서 북미 정상의 연락이 계속 진행돼 왔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은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과 이후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 등을 통한 대미압박에도 대화의 문을 열어두기는 했으나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 친서 교환을 계기로 협상 궤도로의 재진입에 더욱 강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이러한 행보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등을 계기로 한 정세 변화 속에 가급적 이른 시일 내로 북미협상 재개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관측됩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이번 주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무역담판을 벌일 예정인 시 주석이 북한을 협상 지렛대로 활용해 미국을 압박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북미 양자 차원의 비핵화 협상 동력을 속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을 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내심을 갖고 계속 미국과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김 위원장의 북중 정상회담 발언과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생일축하 친서 속 내용도 트럼프 행정부의 판단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관건은 정상 간 친서외교로 서로의 신뢰를 재확인한 이후 미국이 북한과의 직접 접촉에서 기존의 '빅딜'에서 어느 정도 완화된 입장 제시를 통해 북한의 호응을 끌어내고 실무협상을 성사시킬 수 있느냐입니다.

실무협상을 진두지휘하는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지난 19일 민간행사에서 '북미 모두 유연한 접근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다'고 공개 발언한 바 있습니다.

비건 대표의 이러한 발언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전달과 맞물려 협상 진입을 위해 실제 어느 정도의 유연성으로 이어질지 관심입니다.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에 들어 있다는 '흥미로운 내용'에 대해 신중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북미협상 재개에 실마리가 될 만한 제안 등이 친서에 포함됐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