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기업 해외법인 가치 2년새 2조 1천600억 원 '증발'

국내 주요 공기업이 설립한 해외법인의 가치가 2년 사이에 2조 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36개 시장형·준시장형 공기업 가운데 해외법인을 설립하고 주요 경영지표를 공개한 15곳의 해외법인 97개사의 가치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말 기준 취득가액은 23조 4천187억 원으로, 2년 전보다 1조 86억 원 감소했습니다.

이에 비해 장부가액은 3조 1천701억 원, 22%나 줄어든 11조 1천368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분의 현재 가치를 의미하는 장부가액이 취득가액보다 더 줄어들었다는 것은 그만큼 회사 가치가 떨어졌다는 것으로, 격차에 해당하는 2조 1천616억 원의 혈세를 날린 셈이라고 CEO스코어는 지적했습니다.

기업별로는 한국가스공사의 경우 지난해말 기준 취득가액이 2년 전보다 1천713억 원 줄어드는 데 그쳤으나 장부가액은 2조 114억 원이나 감소하며 해외법인 가치 손실이 1조 8천401억 원에 달한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특히 호주 글래드스톤 액화천연가스 사업에서 1조 994억 원의 손실을 본 게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지목됐습니다.

한국석유공사도 같은 기간 1천562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손실을 모두 합치면 7조 2천72억 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910억 원의 해외법인 가치 손실을 기록했는데, 대부분은 한국전력으로부터 인수한 우라늄 광산 개발 사업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EO스코어는 "이 기간에 장부가액 증가액이 취득가액 증가액보다 많은 공기업은 단 한 곳도 없었다"면서 "과거 정부에서 해외자원 개발에 나섰던 에너지 공기업들의 손실 후유증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해외 자원개발의 경우 길게는 수십 년의 장기적 성과를 내다보고 투자하는 것인 만큼 단기간의 가치 손실만으로 '실패'라고 규정짓는 것은 무리라는 반론도 나오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