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도, 16일부터 미국산 28개 품목에 '보복 관세'

인도가 16일부터 아몬드, 사과, 호두 등 28개 미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인상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인도에 부여하던 개발도상국 일반특혜관세제도 GSP를 중단한 데 대한 보복 조치라고 로이터 통신과 현지 언론들이 전했습니다.

인도는 2017년 기준으로 미국에 56억 달러 약 6조6천억원 규모를 무관세로 수출해 GSP의 가장 큰 수혜국으로 꼽혀왔습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가 공정하고 합당한 시장접근을 제공하겠다는 점을 미국에 확신시켜주지 못했다"며 이달 5일부터 특혜 중단을 선언했고, 인도는 '불행한 일'이라며 자국 이익 지키기에 나섰습니다.

지난해 미국이 인도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관세 폭탄'을 매기자 인도 정부는 같은 해 6월부터 미국산 일부 제품 수입 관세를 최대 120%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금까지는 미국의 요청을 받아들여 여러 차례 관세인상을 유예했지만, 이를 끝내기로 한 것입니다.

인도는 당초 29개 품목에 대한 보복관세 부과를 검토했으나 바다 새우는 최종적으로 뺐습니다.

인도 정부는 "미국에서 생산됐거나 수출된 28개 상품에 대해 관세를 높이되, 다른 국가에 대한 관세는 기존 비율로 유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치로 인도 정부의 세입은 약 2억2천만 달러(2천608억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작년 기준으로 인도는 미국산 아몬드 수출량의 절반을 수입했고, 미국산 사과 수입국 가운데 2위를 기록했습니다.

인도의 보복관세가 시행되면서 양국 간에 정치적, 안보적 유대에 금이 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리고 있습니다.

달 중 인도를 방문할 예정인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미국 회사들의 인도 시장 접근성 확대를 통해 무역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화는 열려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