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용산 상가 붕괴 1년…사고구역 건물 절반 이상이 '안전 취약'

용산 상가 붕괴 1년…사고구역 건물 절반 이상이 '안전 취약'
작년 6월 상가 건물이 붕괴한 용산 재개발 5구역 내 건물 절반 이상이 안전사고에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2일 서울시가 용산 상가 붕괴사고 이후 5구역 내 건물 33개동을 전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절반이 넘는 17개동이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는 이들 건물을 유지·관리가 필요한 3종 시설물로 지정해 관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6월 3일 용산 5구역에서는 4층짜리 상가 건물이 무너져 한 명이 다쳤습니다.

이 건물은 1966년 지어진 노후 건물로, 사고 전부터 붕괴 조짐을 보였으나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의무 안전점검 대상에 해당하지 않아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에 시는 서울 전체 302개 정비구역 내 건축물 5만166동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에 나섰습니다.

또한 30년 이상, 10층 이하, 연면적 1천㎡ 이하 소규모 민간 건축물에 '찾아가는 안전점검'을 542차례 진행했고, 올해는 대상을 15층 이하, 연면적 3만㎡ 미만 모든 건물로 확대했습니다.

올해부터 사용승인 20년이 지나 의무점검 대상에서 벗어난 소규모 건축물에 대해서도 구청장 직권으로 안전점검을 합니다.

시는 6천23건을 선정, 연내에 안전점검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시는 아울러 민간건축물 안전관리를 총괄하는 '서울시·자치구 지역건축안전센터'를 연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하고, 각 자치구 소관의 소규모 건축물 2만5천915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진행합니다.

건축물 붕괴 위험 신고가 접수되면 24시간 이내에 출동하는 내용을 담은 '긴급안전 현장대응 매뉴얼'도 이달부터 시행합니다.

작년 12월 기준 서울 전체 건물 61만7천514동 가운데 30년 이상 된 노후 건물은 26만6천376동으로 전체의 43%를 차지했습니다.

연면적 1천㎡ 미만 소규모 민간건축물은 약 54만동으로 87%에 달했습니다.

진희선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소규모 민간건축물은 안전에 대한 소유주와 시민의 관심이 중요한 만큼 생활 속 위험요인을 발견하면 행정 기관에 적극적으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