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중 관세 보복전 본격 막 올려…"중국 화물선 美 도착"

미국과 중국이 무역 갈등 속에 오늘 양국 제품에 추가 관세를 본격적으로 부과하면서 치열한 보복전의 막이 올랐습니다.

중국 환구시보는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발표 후 이에 적용되는 중국 화물선이 처음으로 미국 항구에 도착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매체는 해당 화물선에 타이어와 치실 등 각종 물품이 실려있어 추가 관세 부과는 결국 미국 가정에 추가 지출 부담을 주게 될 것이라고 비난했습니다.

앞서 미국은 미·중 무역 협상이 막판에 틀어지자 미동부시간기준 지난달 10일 오전 0시 1분이후 출발하는 2천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이시간 이후 출발하는 중국 화물이 미국에 도착하려면 2-3주가 걸리는 만큼 관세 인상 효과를 지연시켜 협상에 무게를 둔것입니다.

하지만, 미·중 간 무역 협상이 이뤄지지 못하면서 이 추가 관세가 적용되는 중국 화물선이 미국 항구에 도착해 미국의 조치가 실행에 들어가게 됐습니다.

중국 또한 1일 자로 미국산 수입품 일부에 대해 추가 관세를 품목별로 5%, 10%, 20%, 25% 부과에 들어갔습니다.

이번에 추가 관세가 부과된 품목들은 지난해 무역 전쟁 발발 후 중국 측이 미국의 '관세 폭탄'에 대응해 보복 관세를 부과했던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입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13일 성명을 통해 6월 1일 오전 0시부터 미국산 수입품 일부에 대해 추가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한 뒤 이를 추가 유예하기 위한 발표를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중국 상무부는 전날 애플 등 미국 기업을 정조준해 자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침해하는 외국 기업에 대해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규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명단은 비상업적 목적으로 중국 기업들을 상대로 봉쇄 및 공급 중단 조치를 하거나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외국 기업·조직·개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미국 상무부는 중국의 통신장비업체 화웨이 등을 블랙리스트인 '거래 제한 기업' 명단에 올리고 타국에도 거래 제한에 동참할 것을 요청하고 있어 중국의 이번 조치는 이에 대한 보복 차원으로 보입니다.

더구나 미국은 화웨이에 대한 포위망을 더욱 좁히고 있고 중국 또한 미국의 아킬레스건인 희토류마저 보복 카드로 쓸 수 있다며 공공연하게 위협하고 있어 양국 간 난타전은 이번 달에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