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D 스캐너에 담는 1,500년 세월…문화유산 보수도 디지털

중국 산시성에 있는 윈강석굴, 250여 개의 석굴과 5만여 개의 석상은 중국 불교의 최대 걸작으로 꼽힙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윈강석굴은 1,500년의 세월이 묻어있는 만큼 보수관리 방법도 각별합니다. 최첨단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왕자신/윈강석굴연구소 연구원 : 이건 3D 레이저 스캐너입니다. 이 동굴의 모든 지점의 데이터를 모으고 있습니다.]

3D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해 석굴 안 불상 하나하나를 디지털 파일로 보관합니다.

작업 시간이 석굴 하나당 3달 정도 필요한데, 규모가 큰 석굴은 꼬박 1년이 걸린다는군요.

[닝보/윈강석굴연구소 감독관 : 데이터는 문화유산의 복원, 연구, 고고, 전시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을 통해 이걸 구현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흘러 복원이 필요한 부분은 원형 그대로 되살리고, 다양한 복제품도 만들어서 전시나 판매용으로 사용합니다.

온라인 박물관을 만드는 것도 문화유산 보전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인터넷상에 실제와 똑같은 모습으로 문화유산을 재현해 놓으면 더 많은 사람이 즐길 수 있고, 문화유산은 덜 훼손된다는 거죠.

[샨지샹/전 자금성박물관 관장 : 디지털 박물관에 더 많은 콘텐츠를 올려서 많은 사람들이 문화유산을 볼 수 있게 합니다. 집에서도 자금성 전체 모습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문화유산 보호에 디지털 기술이 대세인 듯하지만, 사람의 손끝을 고수하는 장인들도 있습니다.

1860년 서양 군대에 의해 파괴된 베이징 여름궁전 원명원 복원팀이 그들 중 하납니다.

바닥에 쫙 깔아놓은 도자기 조각들은 원명원에서 발견한 것들인데요, 1988년부터 모아온 10만 개나 됩니다.

복원팀은 눈과 손으로만 이 조각들을 퍼즐처럼 하나하나 맞추고 있습니다.

[천후이/원명원 복원팀 팀장 : 1단계 복원이 끝나는 대로, 2단계, 3단계 복원에 들어갈 겁니다. 우리가 발굴한 수많은 도자기 조각들을 다 복원해야죠.]

왜 굳이 첨단 기술을 마다하고 이렇게 힘들게 복원하는 걸까요, 도자기에 새겨진 미세한 예술성은 인간의 경험과 감각으로만이 살려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