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미중 갈등 속 시진핑 전의 다지나…대장정 출발 기념비 헌화

미중 갈등 속 시진핑 전의 다지나…대장정 출발 기념비 헌화
▲ 대장정 출발 기념비에 헌화하는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미·중 무역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대장정 출발지를 찾아 기념비에 헌화해 미국에 맞서 전의를 다지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시진핑 주석이 미국에 버금가는 군사력 구축을 강조한 강군 사상이 책자로 전군에 배포되는 등 중국 지도부가 본격적인 대응 행보에 나섰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는 형국입니다.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어제(20일) 오후 미·중 무역 협상 총책 류허 부총리를 대동하고 장시성을 시찰하면서 중국 공산군(홍군)의 대장정 집결, 출발지인 간저우시 위두현에서 장정 출발 기념비에 헌화했습니다.

시 주석은 위두현의 한 촌락을 찾아 홍군 열사 후손들을 만나 위로하면서 생활 개선 상황을 점검하기도 했습니다.

중국 홍군은 1934년부터 1935년까지 1만 5천㎞에 달하는 역사적인 대행군인 대장정을 통해 혁명 근거지를 중국 동남부에서 서북부로 옮겨 기반을 잡았고 마오쩌둥 전 국가 주석은 확고한 지도자로 떠올랐습니다.

시 주석의 이번 방문을 두고 중국 공산당이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기사회생한 대장정 정신의 강조를 통해 미·중 무역 갈등 또한 극복해 나가자는 메시지를 던진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당일 시진핑 주석이 장시성을 시찰하며 미국의 아킬레스건인 희토류에 관련된 산업 시설도 시찰했다는 점에서 미국에 강력한 경고음을 내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베이징 소식통은 시 주석이 갑자기 장시성으로 내려가 희토류 산업을 점검하고 대장정 출발지에서 헌화했다는 것은 미국을 겨냥한 중국의 의지를 보여주는 성격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은 시진핑 강군 사상 학습 요강 책자를 만들어 최근 전 군에 배포했습니다.

이 책자는 시진핑 주석의 강력한 지도 아래 중국 특색 강군의 길을 걷자는 내용으로, 2035년까지 미국 수준으로 국방과 군을 현대화하는 게 목표입니다.

이 또한 미국 구축함이 지난 19일 중국과 필리핀의 영유권 분쟁 대상인 남중국해 스카보러 암초(중국명 황옌다오) 인근 수역을 항행한 가운데 나와 눈길을 끌었습니다.

(사진=글로벌타임스 화면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