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 총리 "총선 역할, 제가 생각하지 않아…심부름시키면 따를 것"

이 총리 "총선 역할, 제가 생각하지 않아…심부름시키면 따를 것"
이낙연 국무총리는 내년 총선에서의 본인의 역할론과 관련해 "제 역할을 제가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제가 요구할 생각도, 기획할 생각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총리는 오늘(15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다만 저도 정부·여당에 속한 사람이니 심부름을 시키면 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지역구 출마를 염두에 둔 것이냐'는 질문에는 "정부·여당의 일원이기 때문에 시킨다면 합당한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라며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에 대해 진지한 말씀이 아니라고 했는데 제대로 보신 것"이라고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습니다.

범여권의 유력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이 총리는 대선 출마 관련 질문에 대해 "저로선 좀 부담스럽다"며 "지금 그런 이야기를 할 때가 아니다. 마음의 준비도 그렇게 단단히 돼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야권 유력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에 대한 평가와 관련, "행정부에 몸담은 사람이 제1야당 대표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것은 몹시 위험한 일"이라면서 "그분에 대해 그렇게 깊게 알지도 못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리는 "기본적으로 국민의 삶의 개선과 사회의 진화를 이끌거나 돕는 것이 정치인의 기본 임무라 생각한다"며 "제 임기가 끝날 땐 '안전 대한민국이 진일보했다, 그 과정에서 이낙연이 일조했다'는 평가라도 남았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다음 정부에서도 문재인 정부의 '포용국가'라는 큰 틀은 계승될 필요가 있으며, 보강돼야 할 부분은 산업정책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 기업의 해외 유출을 줄이고 국내에서 투자하도록 하는 정책을 훨씬 더 많이 보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편집인협회 토론회 참석한 이낙연 총리 (사진=연합뉴스)
이 총리는 야당과의 협치가 부족하다는 지적엔 "정부·여당의 노력이 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야당도 싸울 때는 싸우더라도 국가적 문제가 있으면 함께 자리해주시는 게 어떨까 하는 제안을 조심스럽게 드린다"면서 "기왕에 시급한 문제가 있으니 여야 5당 대표가 함께 모이고 1대 1 대화를 수용해주시면 어떨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리는 현재 우리 경제 상황에 대해 "명암이 뚜렷해지고 있다. 밝은 것도 있지만 어두운 것이 점점 더 어두워지는 경향을 띠고 있다"며 "엄중하게 직시하고 비장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총리는 국내 기업 정책과 관련해 "공정경제가 우리 경제 정책의 한 축으로서 훌륭한 가치이지만, 전반적으로 기업의 활력을 저하시키는 부작용이 최소화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총리는 최저임금 결정체계의 개편 문제와 관련해 "국회에 제안했지만, 논의가 안 되고 있어서 올해도 어쩔 수 없이 기존 체계로 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공익위원들을 중립적이고 전문적인 분들로 충원하고 권역별 토론회 등을 통해 각계 의견을 수렴해 최저임금의 결정 과정에 반영되게 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총리는 '문 대통령에게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전환을 건의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그런 논의가 있었다"며 "대통령께서 최저임금에 관련된 여러 논의를 아프도록 잘 알고 계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총리는 한일 외교 문제와 관련해선 "과거의 상처에서 오는 문제들은 그것대로 대처해 나가되 그 문제를 더 이상 악화시키지 않도록 해가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대법원의 배상 판결 문제에 대해 "사법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데 행정부가 나서서 무엇을 한다는 것이 삼권 분립 원칙에 맞지 않는다"며 "6월 말 오사카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정상회담에서 모종의 원칙적 합의라도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