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트럼프 "추가 관세" vs 中 협상 취소 '만지작'…강 대 강 대치

트럼프 "추가 관세" vs 中 협상 취소 '만지작'…강 대 강 대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밝히자 중국이 이에 반발해 미국과의 무역협상 취소를 검토하고 있다고 미국 언론들이 보도했습니다.

중국은 오는 8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재개될 예정이던 미국과의 무역협상을 취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 방송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중국과의 무역협상 진행 상황에 불만을 표시하며 트위터에서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힌 것에 많은 중국 관료들이 놀랐다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이 소식통은 미국과의 협상을 취소할지 예정대로 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면서도 "중국은 머리에 총이 겨눠진 상태에서 협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 관료들은 이 문제와 관련해 자국이 압박 전술에 굴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로 사실상 중국을 위협한 것에 관해 주미 중국대사관은 아직 반응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미국 CNBC 방송도 중국이 부총리가 이끄는 미국 방문단 파견 계획을 취소할 것 같다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 글에서 "중국과 무역협상이 계속되고 있지만, 그들이 재협상을 시도함에 따라 너무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고 불만을 표시했습니다.

트럼프는 이날 트위터에서 2천억 달러 어치의 중국 수입품에 매기는 관세를 현행 10%에서 25%로 10일 인상하겠다고 밝혔고 아직 세금을 부과하지 않은 3천250억 달러 어치의 다른 중국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거론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무역협상이 합의에 이를 것이라는 기대가 고조하는 가운데 돌발적으로 이런 구상을 내놓았습니다.

이에 중국 측이 반발해 협상 취소를 검토하면서 결과를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습니다.

일각에서는 양국의 이런 주고받기가 협상 타결이 임박한 가운데 벌어지는 '샅바 싸움'이라는 관측도 있습니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채드 보언 선임연구원은 WSJ에 "트럼프 대통령에 관해서는 (무슨 일이 있을지) 전혀 알 수 없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한 위협일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어 "그것은 그가 패를 잡기 위해 가능한 한 강하게 대응했던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강 대 강 대치가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타이후이 JP모건 자산운용 아시아태평양 수석 시장전략가는 "양쪽은 여기까지 오는 동안 상당한 시간과 자원을 투자했으며 최근 몇달 간 이룬 성취를 간직하고 싶어할 것"이라면서도 "중국은 만약에 미국이 그들이 원하지 않는 협상 전술을 쓰면 그냥 가버릴 수도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측에서는 미국이 실제로 관세 인상을 단행하면 미중 무역협상에 심각한 지장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 후시진(胡錫進) 편집장은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나는 류허 부총리가 이번 주에 (협상하러) 미국에 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트럼프가 관세를 올리도록 둬라. 언제 무역협상이 재개될 수 있는지 보자"고 트위터에 썼습니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이끄는 미국 무역대표단은 이달 1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중국 측과 고위급 무역협상을 벌였습니다.

당시 므누신 장관은 "생산적인 만남"이었다고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와의 협의에 관한 소감을 밝혔습니다.

8일에는 류 부총리가 이끄는 중국 대표단이 미국 워싱턴DC를 찾아 고위급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