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족구병 환자 증가…"외출·식사·배변 후 올바른 손 씻기"

수족구병 환자 증가…"외출·식사·배변 후 올바른 손 씻기"
영유아가 많이 걸리는 수족구병은 기온이 상승하는 봄철에 환자가 증가합니다.

이 시기에는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감염 예방에 중요합니다.

18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이달 말부터 기온 상승과 실외활동이 증가하면서 수족구병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수족구병 외래환자 1천 명당 의사환자는 3월24∼30일 1.8명에서 3월31일∼4월6일 2.4명, 4월7일∼13일 2.5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발열과 입안의 물집,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 등 증상이 나타납니다.

감염된 사람의 대변 또는 침, 가래, 콧물, 물집의 진물 등 분비물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런 것에 오염된 수건, 장난감 등 물건을 만지면서 전파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수족구병을 예방하려면 올바른 손씻기, 기침예절 실천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는 아이 돌보기 전·후 손을 씻고, 장난감 등 집기 소독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수족구병이 발생했다면 환자가 만진 물건 등은 소독액(염소 0.5%)을 뿌리고 10분 후에 물로 씻어내야 합니다.

소독할 때는 장갑과 마스크 등을 착용하고 창문을 연 상태에서 해야 합니다.

수족구병은 대부분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 등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수족구병이 의심되는 아이가 열이 높고, 심하게 보채면서 잦은 구토를 한다면 의료기관에서 신속하게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 수족구병이 의심될 때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등원 및 외출을 자제해야 합니다.

(사진=질병관리본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