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주름 깊어지는' 유통업계…경기 전망 4분기 연속 하강곡선

'주름 깊어지는' 유통업계…경기 전망 4분기 연속 하강곡선
국내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이 무려 4분기 연속 악화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편의점과 슈퍼마켓 등 오프라인 유통업계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그동안 비교적 호조를 보였던 홈쇼핑도 비관론이 심화하는 등 부정적인 전망이 전방위로 확산하는 양상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국내 소매유통업체 1천 개를 대상으로 올해 2분기 경기전망지수(RBSI)를 조사한 결과 전분기보다 1포인트 하락한 91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지난해 2분기 98을 기록한 이후 4분기 연속 하강곡선을 그리면서 2017년 3분기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이 100을 넘으면 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입니다.

업태별로는 온라인쇼핑(103)만 낙관론이 다소 우세했을 뿐 편의점(77)을 비롯해 슈퍼마켓(82), 백화점(89), 대형마트(92) 등은 경기 부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더 컸습니다.

특히 전분기에 110이었던 홈쇼핑은 이번에는 100으로 기준치에 머물렀으며,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모두 전분기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나마 편의점과 슈퍼마켓은 각각 6포인트와 2포인트 올랐으나 여전히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대한상의는 "전반적으로 경기가 부진하면서 소비자들의 주머니 사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편의점과 슈퍼마켓 모두 부정적 전망이 높게 나타났다"면서 "다만 편의점은 날씨가 풀리면서 계절적 요인이 플러스로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홈쇼핑의 경우 매출 성장세는 이어졌으나 송출 수수료 인상에 따른 영업이익 악화, 채널 간 경쟁 격화 등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소매유통업계의 2분기 수익성 전망에 대한 조사에서는 전체의 38.9%가 '악화할 것'이라고 밝혀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 비율(28.2%)보다 높았습니다.

나머지 32.9%는 별다른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수익성 악화에 대한 우려는 대형마트(57.4%)에서 가장 컸으며, 슈퍼마켓(48.8%)과 온라인 쇼핑(41.9%) 등의 순이었습니다.

편의점은 유일하게 호전을 기대한 응답 비율(41%)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현시점에서 필요한 정책과제에 대해서는 '출점제한 폐지 등 규제 완화'를 꼽은 응답자가 전체의 49.1%로 가장 많았습니다.

최저임금 속도 조절(16.7%)이 그 뒤를 이었고, 제조업 수준의 지원(16.3%), 카드수수료 인하(4.7%), 신기술 개발 지원(4.1%)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