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하 직원에게 "부장 말이 법"·"찌질이"…법원 "해임 정당"

부하 직원에게 "부장 말이 법"·"찌질이"…법원 "해임 정당"
부하 직원들에게 상습적으로 언어 폭력을 행사하고 성희롱을 했다는 이유 등으로 해임된 공공기관의 한 간부가 불복 소송을 제기했지만 법원에서 기각됐습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3부는 A씨가 중앙노동위원회를 상대로 '부당해고 구제 신청 기각 결정을 취소하라'며 낸 소송에서 A씨 패소로 판결했습니다.

B 공단의 부장으로 근무하던 A씨는 2017년 공단 인사위원회로부터 직장 내 괴롭힘과 성희롱, 조직 분위기 저해 등의 사유로 해임 통보를 받았습니다.

업무 처리 과정에서 부하 직원에게 "부장 말이 법"이라며 강요하고, 직원들에게 "재수 없다", "또라이", "찌질이"라는 등 모욕적인 언사를 사용했다는 게 한 이유였습니다.

회식 자리에서 여직원에게 러브샷을 강요하고, 업무지도를 주고받던 남녀 직원에게 공개적으로 "둘이 사귀냐"고 말하는 등 성희롱을 한 것도 사유로 꼽혔습니다.

자신에 대해 감사가 시작되자 직원들에게 진술 내용을 알려달라고 요구하거나 이유 없이 돌아가며 직원들을 괴롭혀 조직 내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이유 등도 감안됐습니다.

A씨는 자신의 해임이 부당하다며 구제신청을 냈지만 모두 기각되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는 자신에게 적용된 징계 사유가 객관적인 증거 없이 직원들의 진술에만 기초해 사실인정이 이뤄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성희롱 의혹도 발언 경위나 전체적인 맥락을 보면 성희롱으로 보기 어렵고, 감사 과정에서 직원들의 진술을 물어본 건 방어권 행사를 위해서였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은 그러나 A씨의 징계 사유 중 상당 부분이 인정된다면서 해임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재판부는 "원고는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주로 직급이 낮은 신입이나 여직원, 고용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을 상대로 인격권을 침해하는 발언을 하는 등 괴롭힘 행위를 해 그 비위 정도가 중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재판부는 또 "더욱이 원고의 행위는 1년이 넘도록 이어졌고 의도적으로 보이는 사정도 있다"며 "그 대상이 된 직원들의 인격이나 정신적 건강, 근무 효율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상당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원고는 잘못을 반성하지 않고 오히려 감사 과정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진술을 하게 강요하는 등 비위 사실을 감추기에 급급했다"며 "원고는 직원들을 지휘, 감독해야 할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직위에 걸맞은 수준의 책임과 능력을 보일 수 있다고 평가하기 어렵다"고 꼬집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