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0대 이상 모바일뱅킹 이용 8명 중 1명뿐…50대는 절반"

"60대 이상 모바일뱅킹 이용 8명 중 1명뿐…50대는 절반"
모바일뱅킹이 중장년층에도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60대 이상에선 아직 모바일뱅킹 경험이 드물어서 앞으로 고령층이 금융서비스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12월 2천597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 행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3개월 내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이용한 적 있다'는 응답자가 63.5%로 1년 전 보다 15.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이 조사 결과는 한은이 26일 발표한 '2018년 지급결제보고서'에 실렸습니다.

서비스별로는 잔액 조회, 계좌이체, 현금인출 등 모바일뱅킹이 57.9%, 모바일 기기로 상품 구매 대금을 지급하는 모바일 지급서비스가 44.9%로 각각 11.9%포인트, 18.8%포인트 올랐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모바일뱅킹에선 50대의 '약진'이 두드러졌습니다.

50대의 모바일뱅킹 이용률은 전년 33.5%에서 지난해 51.8%로 18.3%포인트 뛰었습니다.

30대(89.3%)는 17.5%포인트, 40대(76.9%)는 15.7%포인트, 20대(79.6%)는 5.6%포인트 각각 올랐습니다.

다만, 60대 이상에선 13.1%만이 모바일뱅킹을 이용해봤다고 답했습니다.

60대도 1년 전보다는 7.6%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모바일 지급서비스 이용률은 20대(53.6%→80.8%), 30대(50.6%→78.2%), 40대(28.0%→54.0%)에서 크게 확대했습니다.

50대 이상(26.2%)은 17.7%포인트, 60대 이상(6.7%)은 4.6%포인트 올랐습니다.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처음 이용한 배경으로는 가격 할인·포인트 적립 등 '경제적 혜택'이 가장 많이 꼽혔습니다.

계속해서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서비스의 편리성'이 가장 많이 선택받았습니다.

일반은행과 인터넷 전문은행의 모바일뱅킹을 이용해봤다는 응답자는 각각 56.6%, 13.5%였습니다.

연령대가 낮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이용 경험 비율이 높았습니다.

일반은행, 인터넷 전문은행 모바일뱅킹을 모두 이용해 본 응답자를 대상으로 어느 쪽을 더 선호하느냐는 물음에는 절반을 살짝 넘는 56.0%가 인터넷 전문은행을 선호한다고 답했습니다.

모바일 지급서비스 중에서는 간편결제 이용 경험 비율이 29.6%로 가장 높았습니다.

휴대폰 소액결제가 28.3%, 간편송금 23.5%, 앱카드 15.3%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간편결제를 지급수단별로 구분해 보면 신용카드(84.9%)가 가장 높았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서비스의 모바일화 진전으로 고령층의 금융서비스 접근성이 제한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모바일 지급서비스 간편결제는 여전히 신용카드에 의존하고 있어 모바일 지급서비스 확산이 아직 지급서비스 시장의 구조적 변화로 이어지진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