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中 극동지역 투자 확대에 러시아 '움찔'…반감 중폭"

미국에 맞서 중국과 러시아가 경제부문을 중심으로 밀월 관계를 키워가지만, 이면에서는 중국의 극동지역 투자 확대에 러시아 측의 반감이 커졌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오늘(24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법원은 최근 중국 헤이룽장성의 한 기업이 러시아 현지법인을 통해 시베리아 지역의 바이칼호 인근에 짓고 있던 생수 공장의 건설을 중단할 것을 명령했습니다.

이 중국 기업은 바이칼호에서 생산한 생수를 중국, 한국 등으로 수출할 계획이었지만, 세계 최대의 담수호인 바이칼호의 환경이 오염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러시아 내에서 쏟아져나왔습니다.

이 공장의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온라인 청원에는 100만 명 이상이 청원했고, 결국 법원은 이러한 여론을 받아들여 건설 중단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번 사건은 겉으로는 '절친'임을 외치는 중국과 러시아 양국의 관계 이면에 긴장이 도사리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전했습니다.

지난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으로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제재가 단행되자 러시아는 중국 쪽으로 기울었고,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중국은 새로운 동맹을 찾아 러시아와 깊이 있는 관계를 발전시켰습니다.

중국의 대러시아 투자는 10년 동안 9배 가까이 늘어 2017년 138억 달러, 우리 돈 16조 원에 달했습니다.

중국 투자의 3분의 2가량은 광업, 임업, 어업, 농업 등 러시아의 풍부한 천연자원을 겨냥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투자가 천연자원 부문에 집중되면서 러시아 내에서 중국에 대한 반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천연자원이 많은 시베리아 극동 지역에서 이러한 반감의 목소리가 거센 상황입니다.

국제정치 전문가인 로버트 카프란은 "중국이 극동 지역에 대한 지정학적, 경제적 지배권을 행사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이러한 반감의 기원은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말했습니다.

1858년과 1860년 중국의 청 왕조는 두 번의 조약을 통해 러시아에 100만㎢ 이상의 땅과 섬을 넘겨줬고, 이는 중국 교과서에 국가의 치욕으로 기록됐습니다.

양국은 이로 인해 1960년대에 국경 분쟁을 겪기도 했습니다.

더구나 극동 지역에 사는 러시아인이 830만 명에 지나지 않지만, 중국 동북 3성의 인구는 9천만 명에 달한다는 것도 중국의 '영토 재탈환'에 대한 러시아 내 우려의 목소리를 키우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러시아의 중국 전문가인 알렉산더 루킨은 "중국 관료들이 말로는 윈-윈과 상호 존중을 외치고 있지만, 실제로는 패권 국가를 추구할 것이라는 우려가 러시아 내에서 커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