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난해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 2014년보다 9.4% 감소"

"지난해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 2014년보다 9.4% 감소"
지난해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이 2014년보다 9.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오늘(24일)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은 29만 3,557t입니다.

이는 2014년 배출량인 32만 4,109t보다 9.4% 줄어든 수치입니다.

감축량 3만 552t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산업 부문입니다.

산업 부문의 2014년 대비 2018년 미세먼지 배출 감축량은 1만 7,0971t입니다.

이어 경유차 배출허용 기준 강화로 1,802t, 노후경유차 관리 강화로 1,792t, 건설장비 배출 저감 사업으로 1,640t 등 수송 부문에서 총 5,601t을 감축했습니다.

생활 부문에서는 공사장 불법 소각 규제로 2,557t, 생활 주변 오염원 단속으로 1,052t 등 총 4,187t을 줄였습니다.

발전 부문에서는 석탄화력발전소 1,160t 등 총 2,793t을 감축했습니다.

다만,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 9.4% 감축이 국민 피부에 와닿는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달 초에는 대기 정체와 중국 스모그 유입이 동시에 일어나면서 2015년 관측 이래 전국이 사상 최악의 초미세먼지로 뒤덮이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2014년 대비 미세먼지 감축 비율을 지난해 9.4%에서 올해 12.5%, 내년 23.8%, 2021년 29.7%, 2022년 35.8%로 높일 방침입니다.

2022년까지 감축하겠다는 35.8%의 내용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산업 6만 2,400t, 수송 3만 2,360t, 발전 1만 1,681t, 생활 9,675t입니다.

이런 부문별 감축 목표를 달성하면 2014년 32만 4,109t이던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은 2022년 20만 7,994t으로 줄어들 예정입니다.

이처럼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이 줄고 중국의 강도 높은 대기 환경 개선 정책이 성공하면 우리나라의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크게 낮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는 등의 기상 조건도 미세먼지 농도 저감의 필수 조건입니다.

신 의원은 "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면 가성비가 높은 저감 대책들을 먼저 시행해야 한다"며 "여야 합의로 통과된 미세먼지 대책 8개 법안을 실행하려면 추가경정예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