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의약품 부작용' 보고 25만 7천 건…해열진통제가 14%

지난해 보건당국에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등 이상 사례 건수는 총 25만7천 건으로 집계됐습니다.

20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은 최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18년 의약품 등 안전성 정보 보고동향'을 발간했습니다.

의약품과 의약외품 등에 대한 안전성 정보는 약국이나 보건소 등을 통해 부작용 정보를 수집하는 지역의약품안전센터와 제조·수입업체, 병·의원, 소비자 등이 보고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의약품과의 인과관계 여부와 상관없이 보고된 것으로서 보고 내용만으로 특정 약물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했다고 간주할 수는 없습니다.

지난해 국내 의약품 등 이상 사례는 25만7천438건으로 2017년 대비 약 1.9% 많아졌습니다.

앞서 2015년(19만8천37건)에서 2016년(22만8천939건) 사이 15.6%, 2016년에서 2017년(25만2천611건)에는 10.3% 늘어났던 점을 고려하면 크게 줄어든 수치입니다.

보고 주체를 보면 지역의약품안전센터의 보고 건수가 17만1천748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지역의약품안전센터는 센터뿐만 아니라 협력병원 및 인근 지역의 병·의원, 약국, 보건소 등의 이상 사례를 수집해 평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제조·수입회사에서 6만8천522건, 병·의원에서 1만5천415건을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효능군별로는 해열·진통·소염제가 3만6천321건(14.1%)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항악성종양제는 2만7천534건(10.7%)으로 두 번째입니다.

해열·진통·소염제와 항악성종양제는 2017년 같은 조사에서도 보고 건수로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한 바 있습니다.

단 2017년 보고 건수 3위였던 합성마약(의약품)은 5위로 내려가고, 5위였던 X선 조영제의 보고 건수가 2만1천90건(8.2%)으로 크게 늘면서 3위로 기록됐습니다.

증상별로는 오심 4만1천924건(16.3%), 가려움증 2만4천945건(9.7%), 두드러기 2만542건(8.0%) 등의 순이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