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조기 폐경, 방광암 위험↑"

방광의 종양 모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연합뉴스)
▲ 방광의 종양 모습

조기 폐경이 방광암 위험 상승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오스트리아 빈 대학 의대 비뇨기과 전문의 모하마드 아부파라즈 박사 연구팀이 1976년부터 미국 간호사 22만여 명을 대상으로 시작된 간호사 건강연구(Nurses' Health Study I and II)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16일 보도했습니다.

45세 이전에 조기 폐경이 온 여성은 50세 이후에 폐경된 여성에 비해 방광암 발생률이 4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습니다.

특히 담배를 피우는 여성이 조기 폐경이 왔을 땐 방광암 위험이 53%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적으로 45세 이전에 조기 폐경을 맞은 여성은 20명에 한 명꼴이었고, 폐경 평균연령은 51세였습니다.

방광암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흡연이었습니다.

초경 연령, 임신 횟수, 경구 피임약, 호르몬 대체요법(HRT)은 방광암 위험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앞서 흡연 초기 내지는 진행성 방광암의 예후 사이에 선량반응 관계(dose-response relationship)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즉 담배를 많이 피울수록 방광암의 예후가 나쁘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결과에 대해 독일 튀빙겐 에버하르트-칼스 대학의 비뇨기과 전문의 아르눌프 슈텐츨 박사는 호르몬 변화가 조기 폐경을 가져온다면서 호르몬 변화는 장기간의 니코틴 노출의 결과일 수 있다고 논평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 비뇨기학회(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34차 총회에서 발표됐습니다.

방광암 발생률은 여성보다 남성이 3배 높지만, 방광암 사망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40% 높습니다.

이는 진단 지연이나 유전적/후성유전학적 요인, 호르몬 요인 등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