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WSJ "올해 1분기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 2.0%→1.3%"

WSJ "올해 1분기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 2.0%→1.3%"
경제전문가들이 예상한 미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됐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민간 전문가 6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4일(현지시간) 발표한 월간 경제지표 설문조사 결과 미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평균 1.3%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달 같은 조사의 평균 2.0%보다 무려 0.7%포인트 하락한 수치입니다.

미국의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이 실제로 이같이 떨어진다면 2015년 4분기 0.4% 이후 최저로 기록됩니다.

응답자 84.2%는 향후 12개월 동안 미국의 경제성장 속도가 느려질 위험이 빨라질 가능성보다 크다고 봤습니다.

경제성장 전망치를 끌어내리는 가장 큰 리스크가 무엇이냐는 물음에 전문가 46.8%는 통상정책 또는 중국을 꼽았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을 비롯한 주요 경제권과 통상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중국은 내부 경제여건이 악화하는 가운데 미국과 무역전쟁까지 치르면서 심각한 경기둔화를 겪고 있습니다.

설문 참여자 88.7%는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가 올해 미국 경제성장에 어느 정도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응답자 6.5%는 악영향이 심대할 것으로 봤습니다.

응답자의 49%는 미국의 다음 경기후퇴(리세션)가 2020년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고 34.7%는 그 시점을 2021년으로 점쳤습니다.

린 리저 전 뱅크오브아메리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과 싸우려고 공격적으로 긴축을 하기보다는 금융이나 다른 부문의 충격에서 경기후퇴가 촉발될 수 있다"며 2022년 1분기를 하강기 시점으로 골랐습니다.

전문가들은 경제성장 둔화와 함께 미국의 일자리 증가세도 꺾일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설문 참여자들이 내다본 올해 1분기 평균 취업자 증가 수는 17만805명으로 지난달 전망치인 20만7천583명보다 18% 정도 감소했습니다.

미국이 완전고용에 도달했느냐는 물음에 47.54%는 아직 아니지만 근접했다고 답변했습니다.

지금이 완전고용 상태라는 이들은 44.26%, 접근하지 못했다고 보는 이들은 8.2%였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