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외교부 "개성·금강산 당장은 안 해…시기 성숙 때 美와 협조"

외교부 "개성·금강산 당장은 안 해…시기 성숙 때 美와 협조"
외교부는 북미가 2차 정상회담에서 합의에 이르진 못했지만, 후속 협상과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 등에 따라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정착의 획기적 진전이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또 북미가 접점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양측이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가진 신뢰를 바탕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외교부는 오늘(13일) 지난달 24일 청와대와 국무조정실에 서면 보고한 내용에 2차 북미정상회담 결과를 추가로 반영한 '2019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업무보고 브리핑에서 "한미 간 긴밀한 공조와 관련국 및 국제사회 지지 확보를 통해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견인하고 항구적이고 공고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는 "가장 중요한 것이 북미 간에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는 것"이라며 "북미대화가 조속히 재개되는데 외교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외교부는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해선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으나, 비핵화-상응조치 관련해 북미 간 생산적인 논의가 진행되고 서로의 입장에 대한 이해가 제고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외교부는 이어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통해 한반도 평화정착 및 남북관계의 속도감 있는 진전을 추진하겠다"면서 "한미 공조를 중심축으로 유지해나가면서 향후 비핵화 과정에서 우리의 능동적 참여를 지속해서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는 아울러 "비핵화 진전과 연계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추진함으로써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겠다"면서 "한반도 및 동북아 전체의 평화와 번영으로 나아가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외교부는 그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입구'격으로 추진했던 종전선언에 대해선 이번에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상징적인 성격의 종전선언은 생략하고 곧바로 평화체제 협상에 들어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습니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에 대해선 "지금 어떻게 하겠다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면서 "중요한 우선순위인데 시기가 성숙하면 미국과 잘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지금은 추진하지 않는 것이냐'는 확인 질문에 "지금 당장 그럴 것이 있겠느냐"고 답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