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마스크, 미세먼지를 넘어 초미세먼지를 준비한다

마스크, 미세먼지를 넘어 초미세먼지를 준비한다
미세먼지가 극성을 부리면서 마스크 관련 특허출원이 활발합니다.

12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4년 이후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미세먼지 마스크 출원은 연평균 134건으로, 그 이전 5년간(2009∼2013년) 연평균 출원 건수 60건보다 2배 이상 늘었습니다.

2009년(98건)부터 2013년(37건)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2014년 91건을 시작으로 2015∼2018년까지 100건 이상으로 급증했습니다.

최근 10년간 출원인은 개인과 기업이 연평균 각각 62.9%와 33.5%로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대학과 기타는 합쳐서 3.6%에 불과했습니다.

개인 출원 비중은 최저 55.4%(2016년)에서 최고 73.7%(2018년)까지 지속해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마스크 분야 기술난이도가 높지 않아 개인이 쉽게 출원할 수 있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생활 속 아이디어를 출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마스크는 먼지 입자 크기에 따라 일반적인 먼지 마스크, 미세먼지 마스크, 초미세먼지 마스크로 구분됩니다.

최근 10년간 먼지 마스크는 전체 출원의 37%(360건), 미세먼지 마스크는 57%(553건), 초미세먼지 마스크는 6%(58건)를 차지했습니다.

2013년까지 전무했던 초미세먼지 마스크 관련 특허출원은 2014년 7건을 시작으로 최근 5년간(연평균 11.6건) 꾸준히 출원됐습니다.

최근 급증한 초미세먼지 유해성에 대한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출원사례를 보면 기공 크기가 작아질수록 통기성이 나빠지는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터의 면적을 늘리는 등 먼지의 크기와 상관없이 적용되는 기존 기술을 활용할 뿐 초미세먼지에 특화된 새로운 기술 도입은 미흡한 실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