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현지시간으로 5일 북미 간 '포스트 하노이' 협상 일정이 아직 잡힌 것은 없다면서도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지난달 27일에서 28일 사이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합의문 채택은 불발됐지만 여러 이슈에 대해 이견을 좁혔다고 말했습니다.
로버트 팔라디노 국무부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북한과의 후속 협상 계획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아직 없다"라고 답했습니다.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제2차 북미 정상회담에 따른 후속 협상과 관련, 수주 내에 평양에 팀을 보내길 희망하고 있다고 전날 밝힌 데 대해 "우리는 아직 스티븐 비건 대북특별대표의 여정과 관련해 발표할 게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막 돌아왔다"며 "전열을 재정비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전날 아이오와 최대규모의 농장 연합인 '아이오와 팜 뷰로'에서 "비록 아직 확약 된 바는 없지만 나는 협상으로 돌아가기를, 향후 수주 내에 평양에 팀을 보내기를 희망하고 있다"며 "이해관계를 공유할 수 있는 부분들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팔라디오 부대변인은 비건 특별대표의 평양행 등 대북 접촉 일정과 관련해 "이 시점에 발표할 건 없다"고 거듭 말한 뒤 '폼페이오 장관은 수주 내에 평양에 팀을 보내길 희망한다고 했다'는 질문을 다시 받자 "우리는 진짜 희망한다"며 "단언컨대 전진해 나가길 원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러나 오늘 발표할 건 없다"며 "우리는 하노이에서 진전을 이뤘고, 거기서부터 움직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자가 '미국은 정상회담 이후 북한과 대화를 해 왔는가'라고 묻자 "비공개 외교 채널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려고 한다"면서도 "우리는 북한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으며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진전은 이뤄졌다고만 원칙적으로 말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이어 "우리는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면서도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매우 구체적 입장을 주고받을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많은 이슈에 대해 간극을 좁힐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또한 미국과 이 세계가 비핵화에 관해 어떤 입장인지에 대해 분명히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북미 간 접촉 상황에 대한 질문이 되풀이되자 "나는 비공개 논의에 대한 구체적 내용으로 들어가지 않겠다"며 "우리는 북한과 정기적으로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