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세먼지 걱정인데…" 중·고교 교실 74% 공기정화장치 없어

"미세먼지 걱정인데…" 중·고교 교실 74% 공기정화장치 없어
사상 최악의 미세먼지가 연일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전국 중·고등학교 교실 중 약 74%에 아직 공기정화장치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6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 당국이 지난달 유치원과 초·중·고교 및 특수학교 등 모든 학교를 조사한 결과, 전국 2만877개 학교 27만2천728개 교실 중 41.9%(11만4천265개)에 공기청정기나 기계환기설비 등 공기정화장치가 없었습니다.

유치원 교실에는 97%, 초등학교 75%, 특수학교 73.9%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돼 있었습니다.

그러나 중학교 교실에는 25.7%, 고등학교 교실에는 26.3%에만 공기정화장치가 있습니다.

지역별 편차도 매우 컸습니다.

대전·충남·세종 지역은 관내 초·중·고등학교의 모든 교실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그동안 상대적으로 공기가 좋은 곳으로 인식됐던 제주도의 경우 도내 30개 고등학교의 교실 715곳 중 단 한 곳에도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제주는 중학교 공기정화장치 미설치율도 99.7%에 달했습니다.

학교 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에서도 도내 628개 중학교 1만2천224개 교실 중에 957개 교실만 공기정화장치가 있어 설치율이 7.8%에 불과했습니다.

서울도 중학교 383개 학교·8천913개 교실 중에 7천559개 교실(84.8%)에 공기정화장치가 없었습니다.

서울의 고등학교 역시 319개 학교·9천690개 교실 중 8천282개 교실(85.5%)에 공기정화장치가 없습니다.

다만 서울 초등학교에는 99.7% 교실에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돼 있습니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비해 중·고등학교에 공기정화장치 설치율이 현격히 떨어지는 것은 교육 당국이 예산 등 한계 때문에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공기정화장치를 우선 설치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교육부는 당초 2020년 말까지 모든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기로 했으나 완료 시기를 최대한 앞당긴 다음 중·고등학교에도 설치를 서두를 계획입니다.

일단 중·고등학교에도 올해 6만여개 교실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치원·초등학교에 설치된 공기정화장치조차 우선 '숫자 채우기' 식으로 설치하는 바람에 용량이 적어 공기 청정 효과가 미미하다는 민원도 잦습니다.

전날 문재인 대통령은 조명래 환경부 장관에게 "어린이집·유치원·학교에 공기 정화기를 설치하고는 있으나, 너무 용량이 적어서 별 소용이 없는 곳이 많다"며 "대용량의 공기 정화기를 빠르게 설치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 방안을 강구하라"라고 지시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