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돌파…"성장 체감하긴 어려울 듯"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돌파…"성장 체감하긴 어려울 듯"
우리나라 1인당 GNI 즉 1인당 국민총소득이 지난해 처음으로 3만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5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 1천349달러로 한 해 전 2만 9천745달러에 비해 5.4% 늘었습니다.

달러 기준으로 1인당 GNI가 3만 달러를 넘은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2006년 2만 795달러로 2만 달러를 처음 돌파한 지 12년 만입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로, 국민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1인당 GNI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의 기준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금융위기 등을 거친 탓에 한국은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까지 걸린 기간이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긴 편입니다.

일본과 독일은 5년, 미국과 호주는 각각 9년이 걸렸습니다.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은 2.7%로, 한국은 '2년 연속 3%대 성장'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2017년 3.1%로 3년 만에 3%대 성장에 성공했지만 지난해 다시 2%대로 내려앉았습니다.

민간소비는 2.8%로 2011년 이후 가장 높았고 정부소비는 5.6%로 11년 만에 최고였습니다.

반대로 건설투자는 -4.0%로 1998년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설비투자도 -1.6%로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입니다.

수출은 4.2% 상승했고 수입은 1.7%를 기록했습니다.

경제활동 별로 보면 제조업은 반도체 등 전기, 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했습니다.

건설업은 사회간접자본 예산 축소 등에 따른 토목 건설 감소에 건물 건설까지 부진해 4.2% 감소했습니다.

건설업 성장률은 2011년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서비스업은 보건, 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2.8% 성장했습니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천782조 3천억 원으로 1년 전보다 3.0% 늘었습니다.

명목 GDP 성장률은 외환위기였던 1998년 -1.1%를 기록한 이후 20년 만에 최저였습니다.

실질 GDP 성장률이 같아도 명목 GDP 성장률이 낮으면 경제주체가 성장을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물가를 감안하면 실제 가계가 벌어들인 소득, 기업 영업이익 등은 덜 늘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명목 GDP 성장률 둔화는 유가 상승으로 교역조건이 악화한 탓으로 풀이됩니다.

총저축률은 34.8%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하락했고 국내 총투자율은 30.4%로 0.8%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사진=픽사베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