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불확실성 큰 시기…한은 금리 연 1.75%로 일단 동결

불확실성 큰 시기…한은 금리 연 1.75%로 일단 동결
북미 정상이 만나는 역사적인 날, 한국은행은 일단 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인상이든 인하든 어느 쪽으로도 방향을 잡기 어려운 때입니다.

한은은 28일 오전 이주열 총재 주재로 서울 중구 태평로 본부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 연 1.75%로 유지했습니다.

작년 11월 금리를 올린 뒤 올해는 연속 동결입니다.

금리인상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지만 불쏘시개가 충분치 않아 보입니다.

이번 금통위 결정은 금융시장에서 예상한 대로입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이달 13∼18일 104개 기관의 채권 관련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 100%가 금리동결을 점쳤습니다.

이들은 국내 경기 둔화 우려와 유가 하락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해진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1월에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개월 연속, 앞으로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8개월 연속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2017년 이후 두 차례 금리인상의 주요 근거였던 금융불균형 문제도 살짝 비껴난 모습입니다.

지난해 정부 규제강화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 추세입니다.

그렇다고 아직 금리인하가 화두로 떠오를 때는 아닙니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에서 금리인하를 논의할 단계는 아니라고 누차 강조하며 분명히 선을 그었습니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방향 변경은 항공모함이 기수를 트는 것과 같아서 시간이 걸린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지금으로선 가장 큰 변수는 미 연준입니다.

올해 들어 급격히 비둘기 (통화완화 선호)로 돌아섰지만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연준이 금리인상을 조기에 끝낸다면 한은의 통화정책 방향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

반대로 금리를 더 올린다면 한은에는 압박 요인입니다.

한미 금리 역전 폭이 현재 0.75%포인트에서 1%포인트 이상으로 확대되기 때문입니다.

한은으로선 금리인하론에 선을 그어둘 수밖에 없는 배경입니다.

그 밖에 미중 무역협상, 북미 정상회담, 브렉시트 등의 굵직한 변수가 한은의 고려요인입니다.

자칫하면 상당한 파장이 초래되는 이슈들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