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영국 중앙은행 총재 "'노 딜' 브렉시트시 유동성 공급확대 등 지원"

마크 카니 영란은행 총재가 26일(현지시간) '노 딜'(No Deal) 브렉시트(Brexit)로 인해 영국 경제에 충격이 가해지면 유동성 공급 확대 등 정책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카니 총재는 이날 하원 재무특별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브렉시트와 관련한 예외적 상황을 고려하면 통화정책위원회(MPC)가 가능한 모든 통화정책 지원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브렉시트를 전후로 시장에 더 자주 유동성을 공급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MPC가 취할 수 있는 수단에는 분명히 한계가 있다고 했습니다.

이날 발표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노 딜' 브렉시트로 인한 충격시 영란은행이 기준금리 인상보다는 인하를 시사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습니다.

카니 총재는 그동안 브렉시트로 인한 혼란과 관련해 기준금리는 양방향으로 모두 움직일 수 있다는 입장을 보여왔습니다.

통화정책이 수요 측에 가해진 충격은 상쇄할 수 있지만, 공급 측면에 가해진 충격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만약 브렉시트로 인한 충격이 무역제한 등 경제의 공급 능력에 해를 가한다면 기준금리 인하가 오히려 인플레이션만 부추길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노 딜' 브렉시트로 파운드화 가치가 떨어지고 새로운 관세 부과, 기업 투자 감소 등이 맞물리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지면서 오히려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영국의 기준금리는 금융위기 여파가 미치던 2009년 3월부터 0.5%에서 변동이 없다가 2016년 6월 브렉시트(Brexit) 국민투표 이후 0.25%로 인하됐습니다.

영란은행은 이후 2017년 11월 기준금리를 0.25%에서 0.5%로 올렸고, 9개월만인 지난해 8월 다시 0.75%로 0.25%포인트(p) 인상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영국 경제가 둔화하는 모습을 보이는 데다 브렉시트 불확실성이 커지자 계속해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