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기혼 여성 2명 중 1명, 양육·교육비 등 경제적 이유로 출산 중단

기혼 여성 2명 중 1명, 양육·교육비 등 경제적 이유로 출산 중단
기혼 여성 2명 중 1명은 양육비나 교육비 등 경제적 부담으로 더는 아이를 낳지 않기로 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때문에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 수는 평균 2.16명이지만, 실제 출산한 자녀 수는 평균 1.75명으로 이상 자녀 수보다 0.41명 적었습니다.

2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자녀 출산실태와 정책 함의' 보고서를 보면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15∼49세 기혼여성의 자녀 출산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습니다.

조사결과, 현재 배우자가 있는 기혼 여성의 향후 출산 계획을 물어보니, '계획 없음'(84.8%)이 대부분이었고 '계획 있음'은 10.4%, '모르겠음'은 4.8%였습니다.

앞으로 애를 낳을 계획이 없는 여성의 출산중단 이유로는 '자녀교육비 부담'(16.8%), '자녀양육비 부담'(14.2%) , '소득·고용 불안정'(7.9%), '일·가정 양립 곤란'(6.9%), '자녀 양육을 위한 주택마련 곤란'(1.3%) 등 경제적 이유로 꼽은 응답의 비율이 47.1%로 절반에 육박했습니다.

또 '계획한 만큼 자녀를 낳거나 남들과 자녀 수가 비슷해서'(20.1%)와 '본인의 나이가 많아서'(20.1%) 등을 추가 출산을 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들었습니다.

이어 '본인이나 배우자의 건강문제'(4.0%), '여가와 자아 성취 시간이 부족하거나 부부만의 생활이 즐거워서'(3.1%), '아이가 행복하기 힘든 사회여서'(2.8%), '불임'(1.4%), '가사·양육 불공평, 부부 관계 불화, 가족 수발 때문'(0.8%), 기타(0.6%) 등이었습니다.

연령별 출산중단 주된 이유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45~49세 기혼여성은 나이가 많은 점을 내세웠지만, 20대는 자녀양육비 부담을, 35~39세는 자녀교육비 부담을 첫 손으로 꼽았습니다.

기혼여성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는 평균 2.16명이었으며 결혼 당시 계획한 자녀 수도 평균 2.0명으로 여전히 결혼한 여성은 2명 정도의 자녀를 낳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출산한 자녀 수는 평균 1.75명으로 이상 자녀 수보다 0.41명 적고, 향후 출산까지 고려해도 이상 자녀 수보다 0.24명이 적었습니다.

아직도 우리나라의 기혼여성은 경제적 이유 등으로 원하는 만큼의 자녀를 출산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자녀를 원하는 만큼 낳기 어렵게 만드는 장애물을 제거하는 일"이라며 "이를 위해 자녀 출산과 양육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일·가정양립을 최우선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