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빠르게 늘어나는 쓰레기"…수도권매립지 조기 포화 우려

"빠르게 늘어나는 쓰레기"…수도권매립지 조기 포화 우려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수도권매립지가 폐기물 반입량 증가로 조기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 따르면 인천시 서구 수도권매립지 제3-1 매립장은 폐기물 반입량이 예상보다 늘면서 애초 계획했던 2025년 8월 이전에 포화상태가 될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3-1 매립장은 면적이 103만㎡로, 폐기물 반입 가능량은 1천891만t입니다.

최근 5년간 평균 연간 반입량인 297만t을 기준으로 추산해보면 2024년 11월 정도까지만 폐기물 반입이 가능합니다.

지난해 9월 폐기물 반입이 시작된 3-1 매립장은 지난해에만 81만t의 폐기물 매립이 이뤄졌습니다.

매립지공사는 설계 단계에서 예상한 폐기물 반입량보다 실제 반입되는 폐기물량이 크게 늘면서 조기 포화가 우려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설계 당시에는 하루 평균 반입되는 폐기물이 1만 2천t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제 반입량은 1만 3천t 수준입니다.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반입량은 2016년 360만 4천t, 2017년 368만 4천t, 2018년 374만 1천t 등으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특히 생활폐기물 반입량이 2016년 52만 9천t, 2017년 56만 7천t, 2018년 70만 6천t으로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계자는 "과거 재활용으로 분리되던 폐비닐류가 생활폐기물로 처리되면서 반입량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여기에 인천시가 최근 3-1 매립장 사용 기간인 2025년 8월에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종료하겠다고 공언하고 나서면서 추가 매립장 조성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2015년 6월 환경부·서울·경기·인천 등 4자 협의체는 수도권매립지 3-1 매립장을 추가 사용하되, 매립장 사용이 끝날 때까지도 대체매립지를 확보하지 못할 땐 매립지 잔여부지의 최대 15% 범위에서 추가 사용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을 달았습니다.

이를 놓고 3-1 매립장과 잔여부지 15%를 합치면 20년 정도는 더 사용할 수 있을 것이란 추론이 나오기도 했지만, 인천시는 추가 매립장 조성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3개 시·도가 공동으로 진행 중인 '대체매립지 후보지 선정에 관한' 연구 용역이 올해 초 마무리되지만 대체매립지 후보 예정지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예상돼 실제 대체매립지 운영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습니다.

대체매립지 운영 전 폐기물처리 설치계획 수립, 입지선정위원회 구성, 타당성 조사, 설계, 시설 공사 등에는 1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천시 관계자는 "중간 처리를 하지 않은 폐기물의 반입수수료를 높여서 받고 지자체별로 반입 총량을 정해 이를 초과하면 추가 수수료를 받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공/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