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지난 6∼8일 방북 당시 핵·미사일 전문가들과 국제법 전문가들도 함께 동행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정기적으로 북한 문제에 대해 보고를 받고 진행 상황을 직접 챙기며 협상팀에 "갈 수 있는 한 멀리 가보라"고 독려하는 등 문제 해결에 전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러한 협상 관련 뒷이야기들은 미정부 고위당국자의 21일(현지시간) 전화 브리핑에서 공개됐습니다.
미 정부 당국자는 비건 특별대표와 김혁철 북한 국무위원회 대미 특별대표의 '평양 담판'을 위한 방북팀 면면과 관련, 방북팀이 총 16명으로 구성됐고 "국제법 전문가들과 여러 명의 국무부 협상팀 소속 멤버들뿐 아니라 미사일 전문가, 핵 전문가들도 포함됐다"고 소개했습니다.
이어 북미는 평양 담판에서 3일간 양측의 이슈 전체에 대해 살펴볼 기회를 가졌으며, 하노이 정상회담에 앞서 이번 주 다시 만나기로 합의했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습니다.
북미는 다양한 이슈에 대한 양측간 간극을 좁히기 위한 '하노이 실무협상'을 시작했으며 내주 2차 북미 정상회담 직전까지 협상을 통해 조율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이 당국자는 밝혔습니다.
'북한이 선의를 갖고 협상한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뭐냐'는 질문에 이 당국자는 "나는 우리가 진정한 협상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적으로 생각한다. 모든 사람이 한 번의 협상에 자신들의 핵심 사항들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지는 않는다"며 "우리가 전체 약속들을 조율해가는 동안 진행되는 과정과 '주고받기'(Give and Take)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지난해 11월 8일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북미 고위급 회담이 취소되는 등 11∼12월 북미 간 교착국면이 이어진 데 대해 "그 이유가 우리에겐 완전히 분명하진 않지만 아마도 그들이 다시 들여다보던 내부적 이슈들과 관련됐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당시 교착의 이유로 '북한 내부 사정'에 무게를 뒀지만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습니다.
이어 "어쨌든 지난해 12월 말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친서 교환을 통해 대화가 완전히 본궤도에 다시 올랐다"며 연말 '친서 외교'를 통한 두 정상의 톱다운식 소통이 중대 돌파구가 됐다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