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금 과다섭취가 아토피 피부염 주범일 수 있어" 독일 연구팀

"소금 과다섭취가 아토피 피부염 주범일 수 있어" 독일 연구팀
소금(염화나트륨) 과다섭취가 알레르기 질환인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과학진흥협회가 운영하는 과학뉴스 사이트 유레크 얼러트(EurekAlert)는 독일 뮌헨 공대 의학 미생물학·면역연구소의 크리스티나 칠린스키 교수 연구팀이 염화나트륨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면역세포인 Th2 세포를 생성시킨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같은 연구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서 실제로 염화나트륨 농도가 매우 높다는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Th2 세포는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T세포의 보조세포 중 하나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 인터루킨-4(IL-4)와 인터루킨-13(IL-13)을 증가시켜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T세포는 원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켜서는 안 되지만 고농도 염화나트륨에 노출되면 Th2 세포로 바뀌고 염화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면 다시 T세포로 되돌아간다는 사실이 세포배양 실험에서 밝혀졌다고 칠린스키 교수는 말했습니다.

이는 염화나트륨 이온의 신호가 Th2 세포의 생성과 억제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칠린스키 교수 연구팀은 또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피부 샘플에서 염화나트륨 농도를 실제 측정했고, 그 결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생한 부위엔 정상 피부보다 염화나트륨 농도가 최대 30배나 높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피부의 염화나트륨 농도 측정은 뮌헨 공대와 마인츠 대학의 핵화학, 핵물리학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았다고 연구팀은 덧붙였습니다.

연구팀은 또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서 염분이 많은 조건에서 잘 번식하는 박테리아인 황색 포도상구균도 발견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생한 피부에 황색 포도상구균이 많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입니다.

찰린스키 교수는 이런 결과가 소금 과다섭취와 아토피성 피부염 사이에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어떻게 이 많은 염화나트륨이 피부로 스며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 이 의문을 풀어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 50년 사이에 과잉 면역반응으로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과 자가면역질환 발생률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급격한 증가세를 볼 때 해당 질환은 유전적인 변화라기보다 환경적, 행동적 변화 때문일 수 있다고 칠린스키 교수는 지적했습니다.

특히 지난 50~60년 사이에 식습관이 변하면서 패스트 푸드와 소금 섭취량이 크게 늘었다고 그는 지적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최신호(2월 20일 자)에 발표됐습니다.

(사진=픽사베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