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본·동남아로 짧게 자주…작년 해외서 쓴 돈 역대 최대

일본·동남아로 짧게 자주…작년 해외서 쓴 돈 역대 최대
지난해에도 해외여행객이 늘어나며 우리나라 국민이 외국에서 쓴 돈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일본이나 동남아 등으로 짧게 자주 다녀오는 경우가 많아져서 1인당 씀씀이는 줄었습니다.

동시에 중국인 관광객 등 입국자도 늘면서 항공운송수지는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2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 시스템을 보면 지난해 국제수지에서 여행지급이 319억 7천만 달러로 2006년 집계 이래 가장 많았습니다.

2017년에 세운 기록을 경신한 것입니다.

여행지급은 2009년 150억 달러로 줄었다가 2012년 200억 달러를 다시 넘었고 2015년엔 250억 달러를 초과했습니다.

이후 2017년엔 16.3% 뛰면서 316억 9천만 달러로 올라섰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여행지급 증가율은 0.9%로,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이후 가장 낮습니다.

출국자 수가 8.3% 증가했는데 해외여행과 유학연수 등에 쓴 금액은 거의 늘지 않은 것입니다.

출국자 1인당으로 따져보면 1천196달러에서 지난해 1천114달러로 줄었습니다.

그 배경으로는 해외여행 문화 변화가 꼽혔습니다.

유럽이나 미국 등 먼 곳으로 길게 다녀오던 데서 가까운 지역으로 짧게 여러 차례 다녀오는 것으로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여기엔 저비용항공사(LCC)들의 근거리 취항 노선 확대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는 국내 LCC들이 보유한 전체 항공기가 140대로 대한항공(167대)의 84% 수준으로 늘었습니다.

숙박요금 등을 온라인으로 비교해서 저렴하게 구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도 한 요인입니다.

지난해엔 이렇게 내국인이 해외로 나가며 쓴 돈보다 외국인이 국내로 여행이나 유학·연수 오면서 쓴 금액이 더 많이 늘었습니다.

여행수입은 153억 2천만 달러로 전년보다 14.6% 증가했습니다.

이는 입국자 증가율(15.1%)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사드 배치 관련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이 풀리는 조짐이 보이며 중국인 입국자가 14.9% 증가했습니다.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하며 일본인 입국자는 27.6% 뛰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여행수지 적자는 166억 5천만 달러로 전년(183억 2천만 달러)보다 소폭 축소됐습니다.

항공운송수지도 이런 배경에서 지난해 9억 9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4년 만에 최대이기도 합니다.

항공운송수지는 2014년 22억 8천만 달러 흑자에서 2015년 7억 5천만 달러, 2016년 3억 2천만 달러로 줄다가 2017년엔 아예 적자가 됐습니다.

지난해는 항공운송수입은 76억 달러, 지급이 66억 달러였습니다.

항공운송수입 역시 4년 만에 가장 많았고, 지급은 2006년 집계 이래 최대였습니다.

항목별로 여객 수입이 44억 9천만 달러로 19.4% 뛰었고 지급은 27억 달러로 1.5% 증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