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교무상교육 2학기 도입 앞두고 재원 마련 '난항'

고교무상교육 2학기 도입 앞두고 재원 마련 '난항'
정부가 올해 하반기부터 고교 무상교육을 시작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예산 확보부터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지방교육재정교부율을 인상해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예산권을 쥔 기획재정부와 좀처럼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교육부는 고교 무상교육 재원 마련을 위해 현재 내국세의 20.46%인 지방교육재정교부율을 최소 21%로 올려야 한다고 보고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을 추진 하고 있습니다.

송기창 숙명여대 교수는에 올해 2학기 고3부터 단계적으로 고교 무상교육을 도입할 경우 수업료, 교과용 도서 비용 지원 등에 올해에만 4천66억원, 2020년 1조4천5억원, 2021년 2조734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고교 무상교육 실시 후 5년간 총 7조8천411억원이 추가로 소요될 것이라고 추산했습니다.

그러나 기재부는 학생수가 줄고 있는데 교육예산을 증액하는 것에 회의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10년 약 723만명이었던 초·중·고 학생 수는 2016년 588만명, 2017년 573만명, 2018년 558만명으로 매년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기재부는 저출산 고령화 등을 고려하면 교육보다는 노인 복지 및 출산 지원 등에 더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교육부는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갈수록 생산 가능 인구 개개인에 대한 질적 투자를 높여 1인당 생산성을 제고해야 하는 만큼 다른 분야보다 우선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습니다.

만약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이 끝내 개정되지 않는다면 시·도교육청이 현재 주어진 교부금 내에서 고교 무상교육을 시행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어 고교 무상교육은 사실상 힘들 수도 있습니다 교육부는 늦어도 3월 안에는 기재부와 협의를 마친 뒤 정부 차원의 고교 무상교육 실현방안을 확정하고, 이후 법 개정에 나설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