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국 '시계 제로'…2월 국회 건너뛰고 3월 국회 가나

정국 '시계 제로'…2월 국회 건너뛰고 3월 국회 가나
민생 법안 처리를 위한 2월 임시국회의 개회 전망이 여전히 어둡습니다.

지난달 19일 더불어민주당을 제외한 야 4당의 요구로 소집된 1월 임시국회가 17일로 종료된 데 이어 2월 임시국회도 여야의 극한 대치로 사실상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길어지는 국회 파행 탓에 각종 민생 법안은 수북이 쌓인 채 계속 잠만 자고 있고, 선거제 개혁 논의도 멈춰 섰습니다.

올해 들어 국회 기능이 사실상 '올스톱'된 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여야는 일단 2월 임시국회를 열어야 한다는 데에는 입장을 같이하고 있습니다.

자유한국당 나경원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가 국회 대표단의 방미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만큼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와 함께 이번 주 초 회동, 국회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각종 현안에 대한 여야 간, 특히 민주당과 한국당 간 입장 차가 너무 커 합의에 이를지는 미지숩니다.

한국당은 '김태우 폭로' 의혹 특별검사 도입, 손혜원 의원의 목포 부동산 논란 국정조사, 조해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 자진 사퇴가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민주당은 손 의원 관련 국정조사의 경우 국회의원 전반에 대한 이해충돌 실태 조사와 제도개선을 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고, 나머지 요구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합의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김경수 경남지사의 1심 실형 선고, 한국당 일부 의원들의 '5·18 망언' 논란 등으로 정국은 꽁꽁 얼어붙은 상탭니다.

국회 정상화를 어렵게 하는 악재가 잇따르는 양상입니다.
국회
여기에 '빅 이벤트'인 2차 북미정상회담이 오는 27∼28일 개최되고, 한국당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27일로 예정된 만큼 2월 임시국회에 대한 관심도도 낮아진 상탭니다.

따라서 2월 남은 기간 여야 간 냉각기를 거친 뒤 3월 임시국회를 소집해야 한다는 견해가 설득력 있게 돌고 있습니다.

물론 국회 공전 장기화는 여야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는 만큼 여야가 극적으로 국회 조기 정상화에 합의할 수도 있습니다.

민주당은 민생·개혁 입법이 시급한 상황이고, 한국당은 '국정 발목잡기'라는 역풍을 피하기 위해섭니다.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야 3당의 경우에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선거제 개혁 관철 차원에서 국회 정상화가 절실합니다.

민주당은 사립 유치원 비리 근절을 위한 '유치원 3법'과 안전한 의료환경 조성을 위한 '임세원법', 탄력근로제 확대 관련 법안, 체육계 폭력 근절법,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법 등을 중점 입법과제로 꼽고 있습니다.

한국당 역시 주요 경제 현안 해결을 위해 서둘러 국회를 열자는 입장입니다.

다만 정양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여당이 법안을 처리하려면 특검과 청문회, 국정조사 등 야당의 요구를 들어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바른미래당 유의동 원내수석부대표는 "1월 임시국회에 이어 2월 임시국회마저 안 열린다면 국민들의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현안이 워낙 많고 경제도 너무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2월 국회를 열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