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마존이 걷어찬 뉴욕 '멘붕'…부동산 직격탄에 책임론 내분까지

아마존이 걷어찬 뉴욕 '멘붕'…부동산 직격탄에 책임론 내분까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이 '뉴욕 제2본사(HQ2)' 계획을 전격 철회하면서 뉴욕이 거센 후폭풍에 휩싸였습니다.

당장 뉴욕 퀸스의 부동산업계가 충격에 빠졌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아마존이 작년 11월 퀸스 롱아일랜드시티(LIC)를 제2본사 부지로 선정한 이후로, 퀸스 전반의 부동산이 들썩이면서 막대한 투자자금이 유입됐지만 예상 밖의 초강력 악재를 만난 셈입니다.

아마존 직원들이 입주할 예정이었던 씨티그룹 빌딩은 곧바로 대규모 공실에 직면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아마존이 들어서면 약 140만 스퀘어피트(약 4만 평)의 사무공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됐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개발업체들도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퀸스의 거주용 아파트 계약 물량은 지난 3개월 동안 181% 급증했다고 WSJ은 전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현지 부동산 중개인들을 인용해 "아마존의 제2 본사 부지로 선정된 이후로 롱아일랜드시티의 부동산 거래는 거의 3배가량 불어났었다"고 전했습니다.

아마존이 뉴욕에서만 2만5천명을 고용할 것이라고 예고하면서 유례없는 부동산 호황이 이어졌고, 거주용 집값도 뛰었습니다.

이는 지역 정치권의 '아마존 반대론'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진보성향이 뚜렷한 뉴욕의 정치인들은 주거비 부담을 우려하면서 아마존 제2본사의 뉴욕 입주에 반대했고, 뉴욕 당국이 아마존에 약속한 30억 달러(3조4천억 원)의 인센티브에도 제동을 걸었습니다.

지역 정치인들이 노조가 없는 아마존에 '노조 결성'을 요구한 것도, 뉴욕을 포기하기로 한 아마존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뉴욕타임스는 "뉴욕 당국의 주선으로, 아마존 경영진과 노동계 인사들이 회동을 가졌고 이튿날 아마존은 뉴욕 제2본사 계획을 철회했다"고 전했습니다.

여전히 뉴욕의 전반적인 여론은 아마존에 우호적입니다.

이달 초 시에나 대학의 전화 여론조사에 따르면 뉴욕주 주민의 56%, 뉴욕시 시민의 58%는 30억 달러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더라도 2만5천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아마존을 유치하는 데 찬성했습니다.

이런 여론과는 달리 일부 정치인의 반대 속에 아마존 유치가 무산되자, 당장 뉴욕 정치권을 장악한 민주당 진영이 양분될 조짐이라고 뉴욕타임스는 전했습니다.

민주당 소속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 빌 더블라지오 뉴욕시장은 '아마존 유치전'에 사활을 걸고 나섰지만, 정작 '민주당 샛별'로 떠오른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뉴욕) 연방하원의원은 월세 급등 등을 이유로 반대 목소리를 내왔습니다. 

(사진=AF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