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백악관, 북한 비핵화 회의론 맞서 '트럼프식 해법' 여론전

백악관, 북한 비핵화 회의론 맞서 '트럼프식 해법' 여론전
미국 백악관이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회의론 불식에 주력하고 나섰습니다.

백악관은 현지시간 11일 미 허드슨연구소의 토드 린드버그 선임연구원이 지난 6일 월스트리트저널에 기고한 '트럼프는 대북 외교에 진지하다'는 제목의 칼럼을 언론에 배포했습니다.

칼럼은 트럼프 정부가 북한과 진정성 있는 북핵 외교를 펼치고 있으며, 특히 전임 정부와는 차별화한 새로운 접근을 하고 있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오는 27~28일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여론전의 일환으로 비핵화 회의론, 회담 무용론 등 미국 내 우려를 불식하는 동시에 비핵화와 상응조치를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를 잇는 실무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해 북한을 압박하고 설득하려는 의도가 깔린 다중포석으로 풀이됩니다.

백악관은 특히 칼럼 내용 중에서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 원칙, 북미 정상간 '톱다운' 방식의 해결 노력, 한국전 종전 의지를 다룬 부분을 발췌해 보도자료에 별도로 실었습니다.

백악관이 발췌한 부분을 살펴보면, 린드버그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비핵화 원칙과 노력에 대해 "미국의 새 정책이 어떤 것인지는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의 최근 스탠퍼드대 강연에서 뚜렷이 드러났다"며 "비건 대표는 북한의 최종적이며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FFVD)라는 정권의 목표를 거듭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린드버그 연구원은 "이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이란에 취한 정책보다 훨씬 나은 접근 방식"이라며 "오바마 정부는 이란에 핵 개발 계획 중단을 요구하기는커녕 그와 거리가 먼 합의에 그쳤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트럼프는 북한과의 대화에 앞서 이란 핵 합의에서 탈퇴함으로써 미·북 정상회담에서 더 엄격한 조건을 내세우겠다는 결의를 보였다"며 "트럼프 비판자들은 미 정부가 비핵화가 아닌, 피상적 변화만으로 북한과 타협할 것이라고 깎아내리지만 트럼프 정부의 행동이나 통일된 메시지는 종전과 다른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