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이상적 결혼 연령은…'30대 초반'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결혼연령은 30대 초반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습니다.

1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미혼 인구의 결혼 관련 태도' 보고서를 보면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혼 인구의 결혼 태도를 파악한 결과, 이같이 나왔습니다.

연구팀은 미혼남성 1천140명과 미혼여성 1천324명을 대상으로 결혼 필요성, 결혼 의향 등을 조사했습니다.

조사결과, '미혼남성의 이상적인 결혼 나이'에 대한 질문에 미혼남성의 절반이 넘는 58.7%가 30대 초반이라고 응답했습니다.

구체적으로 30∼31세 29.4%, 32∼34세 29.3%였고, 35세 이상을 택한 경우도 28.7%에 달했습니다.

28∼29세는 8.7%, 27세 이하는 3.9%였습니다.

미혼여성이 생각하는 미혼남성의 이상적인 결혼 나이로 30대 초반을 선택한 경우는 57.1%였습니다.

30∼31세 22.2%, 32∼34세 34.9%, 35세 이상 26.1.7%였습니다.

하지만 28∼29세는 5.3%, 27세 이하는 1.4%에 그쳤습니다.

미혼여성이 생각하는 미혼남성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이 미혼남성 자신보다 좀 더 높습니다.

반면 미혼남성은 미혼여성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으로 30∼31세(40.8%)를 제일 많이 꼽았습니다.

다음으로 28∼29세(21.4%), 32∼34세(13.4%), 28∼29세(21.4%), 27세 이하(16.1%), 35세 이상(8.3%) 등의 순이었습니다.

미혼여성 자신이 인식하는 미혼여성의 이상적인 결혼연령도 30∼31세가 36.6%로 가장 높았지만, 32∼34세도 26.2%나 되고, 35세 이상을 선택한 경우도 17.4%에 이르렀습니다.

그렇지만 28∼29세 14.5%, 27세 이하 5.4% 등에 그쳤습니다.

미혼여성이 미혼남성보다 더 높은 연령을 자신의 이상적인 결혼연령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결혼연령이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으로 늦춰지면서 결혼을 하지 않거나 늦추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통계청의 '2016년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혼인 연령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6년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 32.8세, 여자 30.1세로 1년 전보다 각각 0.2세, 0.1세 상승했습니다.

남녀 차이는 2.7세로, 10년 전 3.2세보다 나이 차이가 줄었습니다.

2016년 혼인은 28만1천600건으로 1년 전보다 7.0%(2만1천200건) 줄었습니다.

1974년 25만9천100건 이후 가장 적습니다.

1970년대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이후 꾸준히 유지되던 30만 건대도 무너졌습니다.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인 조혼인율은 5.5건으로 1970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해당 연령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를 뜻하는 연령별 혼인율을 보면 결혼 시기도 꾸준히 늦어지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작년 남성 혼인율은 30대 초반(59.3건), 20대 후반(36.8건), 30대 후반(24.3건) 순이었습니다.

20대 후반의 혼인율은 사상 처음으로 40건대 아래로 떨어져 20년 전 99.2건, 10년 전 56.7건보다 크게 떨어졌습니다.

특히 여성 혼인율은 20년째 20대 후반에서 가장 높지만, 수치는 크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2016년 이 연령대 혼인율은 66.5건이었습니다.

10년 전에는 81.8건, 20년 전 84.5건이었습니다.

그러나 30대 초반의 혼인율은 2016년 50.1건으로, 10년 전 29.7건보다 크게 늘어 남성과 함께 여성의 결혼도 점차 30대로 늦춰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